【ABSTRACT】
A Study on learning styles of the Korean learners in Thai secondary schools
Sanggum Lee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
【ABSTRACT】
A Study on learning styles of the Korean learners in Thai secondary schools
Sanggum Lee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learning styles of Korean learners of Thai secondary schools and to sugge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ir learning styles so that learning motives and accomplishments of the learners can be enhanced. For this, a survey and analysis of learning styles of Korean learners in Thai secondary schools were conducted. Analysis results imply that learning styles of the learners are various meaningfully according to their sex, grade, learning period and academic records. Sexual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shows more meaningful gap in the affective learning style. Female learners put more emphasis on endurance, inner motive and responsibility than male learners do. This implies that the affective domain has more influence on female learners than on male learners. In sensory preference in the biological learning style, female learners show more preference on kinesthesis than male learners do.
Grade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shows meaningful gap in the psychological, the affective, and the social learning styles. The analytic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psychological learning style is preferred by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The inner motive in the affective learning style is preferr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The first graders get the highest scores in durability. In the social learning style, The first graders get the highest scores both in supervision of adults and in getting motivated from adults. Learning period difference shows meaningful gap in the psychological and the affective learning styles. In the psychological learning style, the longer learners' learning period is, the more analytical information processing they prefer. In the affective learning style, the longer learners' learning period is, the higher durability they show. Academic results difference shows meaningful gap in the psychological and the affective learning styles. The higher the academic results of the learners are, the more analytical information processing they prefer. They also show more inner motive, responsibility and durability in the affective learning style. In contrast, the learners of middle and low academic results prefer supervision of adults in the social learning style. All learners show same preference in the learning style and sensory preference. They prefer from 8 A.M. till noon as study time and kinesthesis in all sensory.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and analysis of the learning styles in Thai secondary schools. An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if there is any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due to learners' preference on certain learning styles, teachers should acknowledge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offer them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various learning styles at the same time so that learners can get positive leverage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를 고양시키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조사 분석하고 학습 양식을 고려한 한국어 수업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를 고양시키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조사 분석하고 학습 양식을 고려한 한국어 수업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개인 변인인 성별, 학년, 학습 기간, 학업 성적에 따라 학습 양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학습 양식의 차이는 정의적 학습 양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지속성, 내재 동기, 책임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정서적인 면의 지배를 많이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생리적 학습 양식의 감각 선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운동감각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학습 양식의 차이는 심리적 학습 양식, 정의적 학습 양식, 사회적 학습 양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심리적 학습 양식에서 분석적 정보 처리 방식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선호하였고, 정의적 학습 양식에서 내재 동기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으며, 지속성은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았다. 사회적 학습 양식에서 성인의 감독과 성인에 대한 동기는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습기간에 따른 학습 양식의 차이는 심리적 학습 양식과 정의적 학습 양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적 학습 양식에서는 학습 기간이 길수록 분석적 정보처리 방식을 선호하였고, 정의적 학습 양식에서는 학습 기간이 길수록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성적에 따른 학습 양식의 차이에서는 심리적 학습 양식과 정의적 학습 양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상 집단일수록 심리적 학습 양식에서는 분석적 정보 처리 방식을 선호하였고, 정의적 학습 양식에서는 내재 동기와 책임감,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중 집단과 하 집단은 사회적 학습 양식에서 성인의 감독을 선호하였다.
학습 선호 시간과 선호 감각은 모든 개인 변인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는데 학습 선호 시간은 오전 8시~정오까지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선호 감각은 운동감각을 가장 선호했다.
학습 양식 영역 별로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한국어 수업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 양식 선호가 학업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교사는 학습자 고유의 학습 양식을 인정하면서 학업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양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