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통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Zhang, Xife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Zhang, Xife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teaching i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smooth communication, above all, the writing skills among four basic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must be importantly handled. Also, the writing is hard to master. So, even though Korean native speakers can freely communicate in Korean language, there are many persons who don't know how to write properly. If then, some of learners who aren't fluent in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writing is like getting blood from a stone. For this reason, I guess that their Korean writing ability is not enough.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ed writing tasks which were required in the university class, and drew up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 will sort out contents which were handled in each chapter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of all, Chapter 1 discuss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 and analyzed Korean texts also. Then, I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and skill-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considered the concept and feature, and also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n writing education. After examining concept and feature of skill-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I reviewed skill integra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 also set the direction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Chapter 3 selected intermediate level and high level's Korean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by 6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Also, I extracted writing tasks or activity contents in each textbook. According to 3 kinds of analysis standard, I analyzed integration between writing and the other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above-mentioned chapter 2 and chapter 3,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chapter 4 presented writing tasks which were required in the university class and drew up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First of all, this chapter planned learning model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so as to smoothly draw up this teaching method.
Lastly, chapter 5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In order to improve writ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the study suggested in the university class that it is necessary to handle 4 kinds of writing tasks that must be applied to language classes before university admissions. This study argued that learning writing needs a lot of time and effort, so class should construct inside classroom's learning which handles the steps of before and after writing, and outside classroom's learning which handles the steps of writing,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time. Also, each writing process should consist of integration activity of writing and the other language skill.
Therefore, I thin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of making efficient use of the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Korean writing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in respect of lessening difficulty of writing and acquiring how to write. However, this study shows limits by the fact that it could not thoroughly identify the strategies in a practical class. According to this study, I hope that follow-up studies of Korean writing education become more diverse for learners aiming for going to university in future. Above all, I look forward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practical class so as to hold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Key words: Teaching Method of Skill-Integrated Language,
Process-Oriented Approach, Analysis The
Text Books, Writing Tasks, Learning Model

국문초록 기능 통합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언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언...

국문초록

기능 통합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언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언어 기능 가운데 쓰기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기능이다. 또한 쓰기는 네 언어 기능 가운데 가장 통달하기 어려운 기능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은 한국어로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더라도 글을 제대로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한 학습자들은 글쓰기가 ‘하늘의 별 따기’와 같다. 이러한 차원에서 한국어 쓰기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짐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학 수업에서 필요한 쓰기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각 장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의 서론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논의하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과정 중심 접근법,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접근법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고,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접근의 의의를 밝혔다. 그 다음은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을 살펴본 후 한국어 쓰기 교육과 기능 통합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국내에 있는 여섯 군데의 대학 부설 언어 교육기관에서 출판한 한국어 중급(4급)과 고급(5급)의 주(主)교재를 선정하여 각 교재 내 쓰기의 특성을 살펴봤다. 또한 각 교재 내 쓰기 과제나 활동 내용을 추출하여 3가지의 분석 기준에 따라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 간의 통합성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선 2장과 3장을 토대로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대표적인 쓰기 과제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원활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수업 모형을 먼저 설계하였다.
마지막의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 목적을 가지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대학 학업 수행 중에 반드시 요구되는 대표적인 쓰기 과제 4가지를 대학 입학 전의 수업에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쓰기 학습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은 쓰기 전 단계와 쓰기 후 단계를 다루는 교실 안의 수업과 쓰기 단계를 다루는 교실 밖의 수업으로 구성해야 하며, 쓰기의 각 과정에서 쓰기와 다른 언어 기능의 통합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기능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을 활용하여 쓰기의 어려움을 덜어주며 글 쓰는 방법도 습득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하여 통합적 수업 지도안의 실효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아쉬운 점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진학 목적을 가지는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가 더 다양화되기를 바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가 실제 현장에 적용되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기능 통합적 언어 교육, 과정 중심 접근법, 교재분석,
쓰기 과제, 수업 모형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