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writing auxiliary textbook of 2012 KSL Standard Korean Textbook, issued by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Research Cent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writing auxiliary textbook of 2012 KSL Standard Korean Textbook, issued by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Research Cent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has been proceeded with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considering how much it is reflected on it, that the contents of the writing proficiency standard of 2012 KSL curriculum and with the Focused Group Interview of KSL teachers to know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it to teach the KSL students in writing. Based on the result, it is proposed a syllabus for the auxiliary writing textbook and designed a sample unit thereof in this research.
Per the result of KSL Standard textbook analysis, in writing, BICS area of that reflects the contents of the writing proficiency standard directly or indirectly. In case of the indirect reflection, the contents of the writing standard of the curriculum were applied to the standard textbook in the manner of meaning extended or added. CALP area of that, in writing, provides tasks such as simple vocabulary check or connecting pictures with proper words, etc.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how to compose a writing to show special nature of each subject. In the meantime, the task difficulty exceeds the expectations of the 2012 curriculum in that the learners in the beginner level are requested to write in free more often than those who are in the middle level. The types of text in the standard book shows lack of variety by treating mainly expository writing, whereas the 2012 curriculum asks text diversity for the writing materials. The tasks do not come up with authenticity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therein.
Per the results of analysis of KSL teachers’ interview, KSL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textbook, excepting the virtue of it as a guideline of what to teach in view of subject matter and the contents. Regarding the design of the writing task, KSL students are expected to carry out free-writing right after controlled writing without a bridge, even in the first level. Considering the students’ age and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textbook lacks of text diversity and interesting activities, such as games, songs, and chants, etc., which may lead students to self oriented studying. In addition, the writing area of the textbook gave an impression as a part of assessment or winding up the skills learned through the unit, which is in use of difficult expressions for the task without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of proficiency and so such expressions become a bigger task for students by themselves.
In light of the above, it is requested that a writing auxiliary textbook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task in terms of texts and activities with proper writing exemplar based on the students' level, considering a specific and/or methodical step for writing study required from the beginning, and under the reality that the textbook is the one main material for students and teachers at present.
The syllabus design for writing in the auxiliary textbook is ground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he aims and contents therefor are based on the textbook. Subjects and texts for the auxiliary textbook are chosen for 18 weeks learning and arranged in a matrix with activities containing social interaction and games, etc. A unit, as an example for the syllabus, is composed of and provided with herein.
Key word: 2012 KSL Curriculum and the writing proficiency standard, the KSL Standard Textbook 1 & 2 for elementary school, Analysis of Textbook, Teachers' Satisfaction, the auxiliary textbook for writing area of KSL Standard textbook, a design of syllabus, a construction of unit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고시된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체계의 언어 기능 중 쓰기의 성취기준이 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과 2(다문화 배...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고시된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체계의 언어 기능 중 쓰기의 성취기준이 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과 2(다문화 배경의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고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초등학생용 쓰기 부교재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 KSL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그를 바탕으로 편찬된 초등학생용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을 분석한 후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에 대한 만족도를 초점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용 부교재를 위한 교수요목을 제안하고 단원을 구성하여 보았다.
초등학생용 표준 한국어 교재의 분석 결과 표준 한국어 교재 1과 2의 생활 한국어 영역은 대부분의 과(課)의 쓰기 과제에서 쓰기 성취기준 내용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는데, 특히 간접 반영된 경우는 성취기준 내용이 확대 혹은 추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학습 한국어 영역의 쓰기 과제는 단순 낱말 삽입 혹은 그림 연결 과제가 제시되어 있고 과목별 쓰기 과제의 특징이 무엇이며 어떤 형식을 가지고 써야하는 가에 대한 안내가 없었다. 한편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의 수준은 초급 단계에서 자유 쓰기 과제가 제시되는 경우가 많고 중급 단계에서 오히려 초급보다 유도된 쓰기 과제가 더 많고 자유 쓰기 과제가 적어 초급이 중급보다 수준이 높다고 판단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성취기준의 쓰기 내용의 언어 재료로서의 텍스트는 다양성을 요구하지만 교재의 쓰기 제재는 설명하는 글 위주의 글이며 성취기준의 쓰기 내용을 교수 학습하기 위해 제안되는 적절한 방법으로서의 과제의 실제성과 상호 협력적 쓰기 활동이 교재의 쓰기 과제에 드러나지 않는다.
현장 교사의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주제와 가르칠 내용의 면에서는 쓰기 교육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구성의 면에서는 통제된 쓰기 후에 바로 자유 쓰기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의 수준을 상회하는 과제가 제시되고,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 있어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초등학생용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과 현장 교사의 표준 한국어 교재 쓰기 영역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초급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쓰기 지도를 하기 위해서는 표준 한국어 교재가 주교재인 현실을 고려할 때 쓰기의 특성을 교수 학습할 수 있는 부교재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 쓰기용 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교수요목의 목적과 내용의 범주는 본고의 연구 목적이 초등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부교재 개발임을 고려하여 표준 한국어 교재의 것으로 갈음하고 내용의 중심이 되는 주제와 텍스트 유형을 18주의 교수 학습 기간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와 텍스트 유형을 교수 학습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 내용을 행렬식으로 배열하였다. 제안된 초등 표준 한국어 쓰기용 부교재 개발의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의 단원을 구성하여 보았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