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학급 유형별 수업 사례의 관찰과 분석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적용 양상에 대한 연구로서 초등 귀국학생의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이 연구는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학급 유형별 수업 사례의 관찰과 분석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적용 양상에 대한 연구로서 초등 귀국학생의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적용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제 사회로의 인적교류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체류국에서 귀국학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점차 다변화되어가는 귀국학생의 학교 적응을 위해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언어 및 문화 적응을 돕는 것이 우리의 교육적 과제이다. 일부 대도시를 중심으로 귀국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특별학급이 마련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학교 상황, 담당 교사의 역량, 학생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어 및 교과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2년 7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정 고시한 ‘표준 한국어(KSL)교육과정’에는 오랜 해외 체류로 한국어 의사소통이나 교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귀국학생을 그 대상으로 포함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학문적 한국어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귀국학생의 한국어능력 신장을 위하여 ‘표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학급 유형별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적용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학급 형태에 따라 분리형 단식 특별학급, 분리형 복식 특별학급, 시간제 이동형 특별학급, 일반형 통합학급으로 네 가지로 유형화하여 선정하였다. 각 유형에 해당하는 학급 표집은 특정 학년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하여 수준별 한국어 능력과 교과 학습 활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수업 참여 관찰과 교사에 대한 심층 면담 방법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수업 참여 관찰은 질적 사례연구로서 일상 기술적 관찰 내용을 촬영, 녹음하고 전사하여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그대로 나타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교의 일반 특성, 학급 구성, 수업 활동 관찰, 수업에 반영된 한국어교육과정 관련 지도 내용으로 4가지 영역을 설정하여 하위 내용을 세분화하여 관찰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연구 분석은 수업 사례 관찰을 기초로 하여 한국어(KSL)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목표와 내용의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 학급 구성 체제 3가지로 범주화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분석 범주에 따른 하위 항목(목표의 재구성, 내용의 재구성, 교수학습 계획, 교수 학습 방법, 교수자 유형, 보충교재, 방과후 프로그램, 교실 환경)의 요소를 19가지로 세분화하여 유형별 수업 사례에 나타난 한국어 교육과정 적용 양상에 나타난 대표적인 특징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실제에서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학급에서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적용에 대한 구조적, 실제적 어려움이 복합적으로 확인되었다. 구조적인 어려움은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교육과정이 학년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귀국학생의 한국어 적응 교육의 유형이 다양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와 방법을 표본화하기 어려운 점, 한국어 지도 대상으로서 귀국학생과 다문화 배경 학생의 이원적인 시각과 인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실제적인 어려움으로는 귀국학생의 한국어 능력 수준, 한국어 수업을 위한 지도 시간의 확보, 수준별 개별 지도에 따른 수업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적용의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유형별 수업 사례에 따라 한국어(KSL) 교육과정 적용 양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형 단식 특별학급’에서는 교과 학습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복합적 재구성, 교과 학습 과정 중에 또래 협력 학습을 통한 활발한 상호작용, 다양한 학습 방법 및 기자재와 자료의 활용 방과후 보충 지도를 통한 생활 한국어 중심의 처방적인 한국어 지도 형태가 나타난다. ‘분리형 복식 특별학급’에서는 교과 학습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학년별 재구성, 또래 협력과 모어 사전을 활용하여 과제 중심 학습, 다양한 한국어 보충 교재를 활용하여 교과 학습과 연계 지도의 형태가 발견된다. ‘시간제 이동형 특별학급’에서는 교과 학습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별화 재구성, 학생의 배경 지식이나 시각적, 언어적 단서를 활용한 수업언어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이중 언어 강사를 활용의 특징이 나타난다. ‘일반형 통합 학급’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적용한 재구성은 대신 교과 학습을 중심으로 개별 보충 형태의 한국어 지도와 한국어 수준이 높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생활 한국어 학습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초등 귀국학생의 수업 사례에서는 귀국학생 대상 학급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한국어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 학급 구성 체제가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초등 귀국학생 대상의 학급 유형별 수업 사례에 나타난 한국어 교육과정 적용 양상을 통하여 다수의 초등 귀국학생을 위한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