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희망 표현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한?중 희망 표현의 대조를 통하여 중국한국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희망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

연구는 한?중 희망 표현의 대조를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희망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거나 어떠한 감정 상태를 표출할 때 희망을 나타내는 표현들이 많이 사용된다. 한국어에서 희망을 나타내는 표현이 여러 가지 존재하는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이러한 표현들을 잘 사용하지 못해서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희망 표현에 대한 교육 방안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대조 언어학적 관점으로 한?중 희망 표현을 대조 분석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희망 표현에 대한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희망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희망 표현을 배울 때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서 '-고 싶다'와 중국어 '想', '-았/었으면 {좋겠다/하다/싶다}'와 중국어 '希望'의 의미적, 문법적 대조를 하였다. 이러한 대조 분석을 통해서 한?중 희망 표현 간의 여러 차이점을 추출하였다. 우선 중국어 '想'은 '희망'의 의미 이외에 '계획'이나 '의도'의 의미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고 싶다'에 비해 의미 폭이 넓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고 싶다'는 주어 인칭 제약, 부정 제약을 받지만 중국어 '想'은 엄격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았/었으면 {좋겠다/하다/싶다}'는 모두 중국어 '希望'과 대응관계를 이루는 이유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이 세 가지 희망 표현 간의 화용적 의미를 구별하지 못해서 오용하는 경우가 생길 것으로 판단된다.
Ⅲ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희망 표현의 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한?중 한국어 교재에 실려 있는 희망 표현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재마다 각 희망 표현의 문법 설명에서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지만 의미적으로 화자의 희망과 바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대체로 비슷한 내용으로 교수되고 있다. 한국 교재들은 중국 교재들에 비해 '-고 싶다'의 문법적 제약에 대한 설명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대부분 한?중 한국어 교재에서 '-았/었으면 좋겠다', '-았/었으면 하다', '-았/었으면 싶다'의 기본 의미와 문법적 특성에 대한 설명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세 가지 희망 표현의 화용적 의미나 서로의 용법상의 차이가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한?중 희망 표현의 대조를 통해서 본 한?중 희망 표현의 차이점, Ⅲ장에서 살펴본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희망 표현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희망 표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우선 희망 표현의 교육 목표와 단계별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주로 '-고 싶다'의 여러 문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고급 단계에서는 상대적 난이도가 높은 '-았/었으면 좋겠다', '-았/었으면 하다'와 '-았/었으면 싶다'의 화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숙달도에 따라 초급 단계 '-고 싶다'에 대한 교육 방안과 고급 단계 '-았/었으면 {좋겠다/하다/싶다}'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한?중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의 제시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학에서 언급하지 못했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준에 따른 희망 표현에 대한 위계화나 교육 방법 등에 대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hop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through contrastiv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hope expression. Expressions of representing hope are f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hop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through contrastiv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hope expression. Expressions of representing hope are frequently used in a daily life when speaking one's own opinion or displaying a certain feeling situation.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expressing hope in Korean language but Korean learners of Chinese experienc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s they are unable to express an emotional situation well due to interfer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Notwithstanding this situation, in a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 study on education method of hop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has been hardly performed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hop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is intended to be explored by comparatively analyzing Korean/Chinese hope expression in a perspective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analyzing education contents of hope expression being represented in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In preceding study of this thesis, a hope expression was observed by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a study on Korean hope expression phrase in Korean linguistics,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Chinese hope expression and a study on Korean hope expression in Korean linguistics as a foreign language. Based on above preceding study, as a study target of this thesis, phrases of 'wish to -'(-고 싶다), 'wish that sth. had-'(-았/었으면 좋겠다), 'wish sth. to be-'(-았/었으면 하다), 'wish that sth. would-'(-았/었으면 싶다) were selected.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2, in order to explore a difficulty being experienced by Korean learners of Chinese due to interference of native language when learning hope expression, pragmatic, grammatical contrast between 'wish to -' and 'Sang' of Chinese, 'wish that sth. had (would)-' and meaning of 'Hope' in Chinese was observed. Through this contrastive analysis, various differences between Korean/Chinese hope expression were extracted. First, as 'Sang' of Chinese has meaning of 'plan' or 'intention' in addition to meaning of 'hope', it is considered that 'Sang' of Chinese has more wide range of meaning than 'wish to -'. When 'hope/wish(하다)/desire that sth. had (would)-' represents a pragmatic meaning (i.e., ‘direction’ and ‘pray’), it mainly corresponds to 'Hope' of Chinese. Or in many cases, 'Hope' would correspond to 'hope/wish/desire that sth. would -'. And while a phrase of 'wish to-' is subject to preceding predicate restriction, subject person restriction and infinitival clause restriction, 'Sang' of Chinese is free from strict grammatical restriction.
As 'wish/hope/desire that sth. had (would)-' corresponds to 'Hope' of Chinese as a whole, Korean language learners of Chinese may misuse such Korean hope expression by being unable to distinguish pragmatic meaning of those three hope expressions.
In Chapter 3, in order to identify educational reality of hope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etting, educational contents of hope expression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7 kinds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3 kinds of Chinese teaching materials) as a foreign language was analyzed and its merit/demerit was observed. It could be realized tha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presented form or grammatical explanation of hope expression in every teaching material but 'wish to-' was mainly presented in beginner(novice) stage, 'wish that sth. had-' and 'wish sth. to be-' in intermediate level and 'wish that sth. would-' in advanced level and as an expression of semantically showing hope and desire of speaker, almost similar contents were taught and learned. Korean teaching materials are unsatisfactory in explaining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r restriction of each hope expression and Chinese teaching materials in setting learning activity of each hope expression. In an actual education method, these material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education method by grafting advantages through their mutual supplementation.
In Chapter 4, based on difference of Korean/Chinese hope expression through its contrastive comparison and education contents of hope expression being represent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that was observed in Chapter 3,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hope expression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of Chinese will be explored.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irst, education goal and stage-by-stage education contents for hope expression were selected. Based on this result, an education method for 'wish to -' in beginner stage by utilizing a deductive method depending on proficiency and that for 'hope/wish/desire that sth. had-' in advanced level by utilizing an inductive method were suggested.
Suggestion of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would provide an alternative of hierarchical arrangement or education method for hope expression depending on each level by targeting Chinese learners that was not mentioned in Korean linguistics so far.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