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 삽화 분석 : 한국과 일본에서 출판된 초급 교재 삽화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에서교재 별로 나타나는 삽화의 외형적 측면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삽화 내용의 사회·문화적 요소에서 편견이 존재하는지도 고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

본 연구에서는 교재 별로 나타나는 삽화의 외형적 측면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삽화 내용의 사회·문화적 요소에서 편견이 존재하는지도 고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일본에서 발간된 한국어 교재 삽화를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제시하고, 한·일 양국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될 이상적인 교재 삽화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이후 한·일 양국에서 출판되는 교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교재 삽화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 교재 삽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첫째, 한국어 교재 삽화가 나타내고 있는 전반적인 특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보는 것이다. 둘째, 한국어 교사 및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교재 삽화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II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삽화의 교육적인 역할과 기능, 표현 양식에 대해 기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연구 절차와 연구 대상, 자료 분석 기준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 교재 7권과 일본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 교재 7권의 총 14권이며, 설문 조사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교사 경험이 있는 자 20명과 한국어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어 IV장에서는 III장에선 제시한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실시한 한국어 교재 삽화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교재에 나타나는 삽화의 표현 유형은 만화적인 표현이 가장 많았으며, 표현 기법은 한 교재에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각 교재마다 선호하는 표현 기법이 있어 그 기법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교재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등장하는 비율이 높았고, 인종에서는 흑인 계열이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들은 텍스트 위주의 자료보다 삽화 위주의 자료를 선호하고, 교사도 삽화가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내용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가르치는데 좀 더 유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는 이유로 교재 선택에서 삽화를 중요시 한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및 문화에 대해 잘 인지하고 표현할 수 있는 삽화가가 교재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여건이 안 될 경우 한국어교육 및 문화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재 개발자가 정확한 정보, 상황을 전달하여 삽화가가 이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와 동시에 교재 개발 과정에서 교재 구성이나 내용뿐만 아니라 삽화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초급 교재 중에서 첫 번째 권에 해당하는 교재에 한해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와 같은 한국어 교재 삽화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된 삽화가 포함된 교재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本探讨では、教材別に表れる挿絵の外形的側面を略论するだけでなく、挿絵の内容に社会・文化的要素で偏見が存在するかを考察し、その結果を基に改善法案を提示しようとするもので...

本探讨では、教材別に表れる挿絵の外形的側面を略论するだけでなく、挿絵の内容に社会・文化的要素で偏見が存在するかを考察し、その結果を基に改善法案を提示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また、韓国で出版された韓国語教材と日本で出版された韓国語教材の挿絵を比較略论し、それぞれの特性を提示し、日韓両国の韓国語教材に収録される理想的な教材の挿絵の方向性を提示すると共に、今後日韓両国で出版される教材開発に役立つことが目的である。
 第一章では、本論文の探讨目的を明らかにし、教材の挿絵に関連がある先行探讨を整理した。先行探讨を基に韓国語教材の挿絵に対する探讨の必要性を提議し、探讨問題を導出した。本論文の探讨問題は、一つ、韓国語教材の挿絵が表している全般的な特長にはどのようなものがあるのかを見ることである。二つ、韓国語教師および韓国語学習者は韓国語教材の挿絵に対して、どのような考えを持っ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
 第二章では本論文の探讨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挿絵の教育的な役割と機能、表現様式に対する記述をし、理論的背景を整理した。
 第三章では探讨の手順と探讨対象、資料略论の基準および措施に対して記述した。探讨対象は、韓国で出版された韓国語初級教材7冊と日本で出版された韓国語初級教材7冊の計14冊で、設問調査は韓国語教育機関で教師経験のある者20名と韓国語学習者20名を対象に実施した。
 続いて第四章では、第三章で提示した略论基準を基に実施した韓国語教材の挿絵略论結果を記述した。教材に表れる表現類型は、漫画的な表現が最も多く、表現技法は、一つの教材で多様な技法を使用するのではなく、各教材ごとに好みの表現技法があり、その技法を繰り返し使用する傾向があった。大部分の教材で女性より男性が登場する比率が高く、人種では黒人がほとんど登場しなかった。また学習者は、文字を主とする資料より挿絵を主とする資料を好み、教師も挿絵が学習者にとって親しみやすい内容であるため、韓国語を教える上でより有用であると考え、教材を選択する際に重要視するという結果が表れた。
 最後に第五章では、本探讨の結論を提示し、探讨の意義と限界について言及した。本探讨の結果を基に、韓国語教育および文化に対し、よく認知し、表現できる挿絵家が教材開発に参与することが理想的であるが、条件が揃わない場合、韓国語教育および文化に対して豊富な知識を備えている教材開発者が正確な情報、状況を伝え、挿絵家がこれを具現できるようにしなくてはならない。それと同時に教材開発過程において、教材の構成や内容だけでなく挿絵にも細心の注意を払わなくてはならないという点を示唆した。しかし、本探讨では初級教材の中で最初の巻にあたろ教材のみを略论対象にしたという制限点がある。本探讨のような韓国語教材の挿絵に関する探讨が今後も継続されなければらなず、このような探讨を基に製作された挿絵が含まれた教材の開発が活発になされることを期待する。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