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유형에 따른 영어 글쓰기 접근 방식 차이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qualitative case study sought to gain differentiations to English writing approach of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by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assumed personality function types could affect on the process and approach of writing in English...

This qualitative case study sought to gain differentiations to English writing approach of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by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assumed personality function types could affect on the process and approach of writing in English. This study examine the individual learners personality types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fter conducting MBTI test, 12 adults learn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ersonality function types; SFs(Sensing-Feelig), STs(Sensing-Thinking), NFs(iNtuition-Feeling) and NTs(iNtuition-Thinking) and had two Think-alouds while writing in English. All the individuals had a TOEIC score above 700.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roughout this study, students demonstrated different attitudes, behaviors and approaches towards writing.
All the learners who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common approaches. First, learners tended to use Koreans during Writing the Outline and Generating key ideas. Second, through-out the writing procedure, learners used both Korean and English to write in English. Eight approaches that appeared to all the learners were Task-examination and Decision-making in pre-writing stage and Rehearsing in English, Rehearsing in Korean, Reread in English, Lexical Search, Pausing and Fillers.
The writing approach by personality function groups showed that SFs used Rehearsing in Korean, Reread in Korean and Internet searching for vocabulary in the writing stage. STs had passionate attitude writing in English. They spent the longest time to finish writing in English and STs showed high frequency in Writing, Silent Writing, Rehearsing in English, Reread in English and Internet Searching approaches. NFs tended to use English while writing in English and showed high frequency in Rehearsing in English, Reread in English approaches, following SFs. However NFs used Koreans when only generating ideas. NFs had low frequency of Pausing and used Fillers during the writing stage, which means they were proficient writers in English. NTs spent the shortest time finishing one writing task. NTs frequently used Language Use and Silent Reading, Rehearsing in Korean which was followed by Internet Searching and Eras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common approaches that personality function types writing in English, but also there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s within the same function group.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three suggestions to writing education, including teaching context. First, after understanding individual learner's personality function types, teachers need to provide different writing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learners personality types. Second, learners should be aware that there are other personality types of writing approaches. After grasping their own personality types, they should find the appropriate writing approach that benefits them. Third, Think-aloud could be used as a tool for examining students writing approach by uncovering their strong and weak points to the teacher.

연구는 학습자의 성격 유형이 모국어 및 제2 언어의 글쓰기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Jensen & DiTiberio, 1984, 1989; Gray, 1998)는 연구 결과를 전제로 학습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영어 글쓰기에 접근...

본 연구는 학습자의 성격 유형이 모국어 및 제2 언어의 글쓰기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Jensen & DiTiberio, 1984, 1989; Gray, 1998)는 연구 결과를 전제로 학습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영어 글쓰기에 접근하는 방식의 공통점 및 차이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인 영어 학습자 총 12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성격유형이 파악된 학습자들을 성격의 기능유형인 SF형, ST형, NF형, NT형으로 나누고 영어글쓰기와 함께 생각말하기 절차를 실시하였다. 생각 말하기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토익점수 700점 이상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성격기능그룹의 학습자들의 글쓰기 접근 방식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의 대부분이 글의 개요 작성, 주요 내용을 생각할 때에는 한국어를 사용하였다. 둘째, 전반적인 글쓰기 과정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사용하며, 두 언어로 사고하는 공통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습자에게 나타났던 공통적인 8가지 접근 방식에는 글쓰기 전 단계의 과제조사, 의견 결정하기가 있었고, 글쓰기 단계에서는 쓰기 전 영어로 말하기, 쓰기 전 한국어로 말하기, 영어로 다시 읽기, 어휘선택 고민, 멈춤 그리고 시간 벌기가 있었다.
각 성격기능그룹에 따라 글쓰기에 접근하는 방식은, SF형이 글쓰기 단계에서 글쓰기 전 한국어로 말하기, 한국어로 다시 읽기, 인터넷 단어 검색하기의 접근법의 빈도수가 높게 나와 한국어 사용의 빈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ST형은 타 기능그룹에 비해 6가지 접근법의 빈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T형은 다른 모든 그룹에 비해 가장 오랫동안 글을 썼을 뿐만 아니라 소리 내며 쓰기, 조용히 쓰기, 쓰기 전 영어로 말하기, 영어로 다시 읽기, 인터넷 단어검색의 접근법을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글쓰기에 적극적으로 접근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NF형은 쓰기 전 영어말하기, 영어로 다시 읽기에서 SF형 다음으로 높은 빈도수를 보여 영어 사용의 빈도가 높은 편인 반면, 한국어로는 내용 생각하기의 한 가지 접근법을 사용해 한국어 사용의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글쓰기 단계에서 멈춤의 빈도수와 시간 벌기 발화의 양이 가장 적어서 글을 큰 막힘없이 원활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NT형은 가장 짧은 시간 내에 글을 완성하였고, 문법 점검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조용히 읽기, 쓰기 전 한국어로 말하기, 인터넷 검색, 글 지우기 접근법의 빈도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각 기능그룹별로 학습자가 글쓰기에 접근 하는 방식에는 공통점이 있었지만, 연구 결과 같은 그룹 내에서도 개인의 변별적인 특징들이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현장을 포함한 쓰기 교육에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는 교사는 학생들이 영어 글쓰기를 할 때 개인의 정의적인 요소인 성격유형을 파악하고, 개별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글쓰기 지도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 개인은 성격유형에 따라 글쓰기에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개별적으로 자신의 글쓰기 접근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쓰기 접근 방식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생각 말하기 절차를 실제 글쓰기 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쓰기 접근 방식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는 좀 더 학습자 중심의 균형 잡힌 교수 방법적 접근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학습자 스스로도 글쓰기에 접근하는 방식에 성격기능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효과적인 글쓰기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