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use taste adjectives to express the feeling we felt when we eat something. Since they are used in everyday life, the use frequency of taste adjectives is generally high and the form is relatively complex. Therefore a controlled study for taste adje...
We use taste adjectives to express the feeling we felt when we eat something. Since they are used in everyday life, the use frequency of taste adjectives is generally high and the form is relatively complex. Therefore a controlled study for taste adjectives in Chinese and Korean is launched to observ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is , I first compared the concept and the classification of taste adjective in Chinese and Korean, and then the formation of word is researched as well a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eaning transition and comparing. Through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help Chinese learners who are trying to understanding Korean vocabulary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is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chapter 2, I organized the concept of taste adjective in Chinese and Korean via Korean-Chinese dictionary and studied the classification of them according to the related research by several Korean researchers and Chinese researchers. In chapter 3,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ord formation method in Chines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is mentioned through comparing the taste adjective in both two countries’ languages in terms of word formation. I also clarified the morphologic construction of taste adjective and this is because foreigner learners will feel easier if they get to know the related rules to create words when they learn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I investigated the basic meaning of taste adjective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s well as compared the expand meaning of them. What is the basic meaning of taste adjective in Chinese and in Korean and how to extend the existed word into another one that with different meaning is also researched. In chapter 5, I conducted the mutual meaning transition between taste adjective and adjective that used to describe other feelings. By analyzing the meaning transition, the different usage of Chinese and Korean could be revealed. This research will also complement the existed researches of the transition from taste to other synesthesia feeling and vice versa.
In a conclusion, there are a various number of similarities between Chinese taste adjectives and Korean taste adjectives. This is properly due to the similar culture in China and in Korea. However, according to the inherent culture difference, the differences among extend meaning of taste adjective and the formation of taste adjective in Chinese and Korean are kind of huge. The Korean language is based on the concept of “sky, earth, and human” as well as the Yin and Yang theory. As a result, Korean is a kind of phonogram that can create different kinds of derivative adjectives easily. In the contrast, The Chinese is ideography and it is easy to composite two different words into one taste adjective.
우리는 음식을 섭취하면서 느껴지는 ‘맛’을 미각 형용사로 표현한다. 생활 속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미각 형용사는 사용빈도가 높고, 복잡한 언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양국(한국, ...
우리는 음식을 섭취하면서 느껴지는 ‘맛’을 미각 형용사로 표현한다. 생활 속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미각 형용사는 사용빈도가 높고, 복잡한 언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양국(한국, 중국)의 미각 형용사를 대조 연구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쓰이는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 볼 수 있다.
본고는 먼저 양국 미각 형용사의 개념과 분류를 대조하였다. 그 다음 단어 형성법 및 의미 대응 양상과 의미 전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어휘를 잘 이해하고 습득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려고 한다.
본고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한·중 사전을 통해 미각 형용사의 개념을 정리하고 한·중 학자의 이론에 따라 미각 형용사의 분류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단어형성법의 측면에서 한·중 미각 형용사 대조를 통해 단어형성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언급했다. 미각어의 구성 형태를 밝히는 것은 외국인 학습자가 새로운 어휘들을 배울 때 상관 규칙을 이해하면 한국어 습득이 더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제4장에서는 한·중 미각어의 기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확장 의미를 대조하고자 한다. 한·중 미각 형용사의 기본 의미는 무엇이고 그 기본 의미가 어떻게 다른 의미로 확장되어 나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미각에서 다른 감각으로 의미 전이와 다른 감각에서 미각으로의 의미 전이를 다루고, 이와 함께 한·중 미각 형용사의 추상적·비유적 전이도 다루었다. 의미 전이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용법상의 차이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연구가 미각에서 다른 공감각적 의미 전이와 다른 감각에서 미각으로 의미전이를 다룬 연구가 미흡했던 것을 보완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중 양국의 미각 형용사는 많은 부분에서 공통점을 보였다. 이는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해있고 오랜 기간 동안 인접국가로서 문화를 공유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국의 고유한 문화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미각형용사의 확장 의미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더구나 미각 형용사의 형성방식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것은 두 민족의 언어의 창제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국어는 ‘천, 지, 인’과 음양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맛을 표현하는 다양한 파생 형용사를 만들어 내기가 쉽다. 반면에 중국어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두 단어를 결합하여 다양한 합성 미각 형용사를 만들기가 쉽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