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들은 구문적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하면서 주로 병렬적인 표현을 하다가 점차 다양한 복문을 산출하기 시작한다. 복문산출 시 문맥에 맞는 표현을 하기 위하여 연결어미의 사용은 필수...
아동들은 구문적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하면서 주로 병렬적인 표현을 하다가 점차 다양한 복문을 산출하기 시작한다. 복문산출 시 문맥에 맞는 표현을 하기 위하여 연결어미의 사용은 필수적이며, 자신의 의도를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언어능력이다. 하지만 구문구조 안에서 연결어미 사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거나, 연결어미 사용의 결함을 선별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연결어미 산출유도를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연결어미가 포함된 구문구조의 산출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선별검사 자료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제작된 자료를 이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년 간 연결어미 산출의 정확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나열, 대립, 계기, 동시, 목적, 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의미범주별로 5개씩 총 30개의 문항과 그림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문항선정 과정에서 나열, 계기, 이유․원인 범주의 문항은 본 연구의 목표에 해당하는 연결어미 산출을 유도하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문항에서 제외하였다. 나머지 대립, 동시, 목적의 세 범주에서 3문항씩 선정하여 연결어미 산출과제의 선별자료로 제시하였다.
연결어미 산출과제 선별자료의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수용․표현 어휘력검사(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이하 REVT)를 실시하여 -1표준편차 이상에 속하는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일반아동 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학년 간 연결어미 정확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된 두 집단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문항 내적일관성을 알아본 결과, 목적, 대립, 동시의 범주 순서로 신뢰성이 높았으며, 연결어미 선별자료의 9개 문항 모두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본 결과, 각 문항에 대한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셋째, 평가자간 신뢰도를 산출 한 결과, 연결어미 산출과제 선별자료 검사에서 연결어미 정확률 분석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95.3%였다. 그리고 재검사에서 연결어미 정확률 분석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96.2%였다. 넷째, 학년 간 연결어미 산출과제 선별자료의 검사-재검사 정확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검사-재검사 모두 연결어미 범주별로 정확률의 수치에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별자료는 대립, 동시, 목적의 각 범주별로 3문항씩,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임상현장에서 연결어미 산출과제 선별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시문항이 필요할 경우, 각 범주에 해당하는 예시문항은 신뢰도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낸 대립의 3번 문항, 동시의 2번 문항, 목적의 2번 문항을 예시문항으로 하여 본 선별검사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자료는 연결어미가 포함된 구문구조 산출을 유도하고 산출능력을 선별하는데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자료라고 할 수 있으므로 치료중재나, 평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선별검사 자료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다양한 대상 집단을 통한 검사가 이루어져서 대표성이 있는 표준화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children start to learn syntactic knowledge, they primarily use paratactic expression and later begin to speak in diverse complex sentences. To make an appropriate expression to context, building a complex sentence requires use of connective ending...
As children start to learn syntactic knowledge, they primarily use paratactic expression and later begin to speak in diverse complex sentences. To make an appropriate expression to context, building a complex sentence requires use of connective endings, which is a language skill required for exact delivery of your intention to others. However, there have been greatly insufficient data to either evaluate ability to use connective endings in syntax structure or screen defects in using connective ending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ed to create screening test data to be used for leading school age children to use connective endings and evaluating ability to build syntax structures including connective endings. After the data was created, it was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with the created data,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mong school age children with a view to finding out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accuracy of building connective endings by grade.
To this end, a total of 30 questions and pictures with respective five questions in arrangement, opposition, chance, simultaneity, reason and cause connective endings were made. Howeve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questions, questions in arrangement, chance, reason and cause were considered not appropriate to lead to building connective endings, the aim of this study and eliminated. From the rest categories- opposition, simultaneity and purpose, three questions were selected respectively in order to be used as screening data for an assignment to build connective endings.
For reliability test of the screening data for the assignment to build connective endings,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test, 40 students consisting of secon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rested in more than -1 of standard deviation were sources for data collection. In order to see differences in accuracy of connective endings by grade, t-test for two individual groups was carried out.
Results of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s:
First, a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40 students with regard to internal consistency of questions showed that reliability was highest in result and purpose was the next and opposition followed and all nine questions in the connective ending screening data had reliability. Second, regarding test-retest rel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ques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according to a calculation of reliability between evaluators, a test of screening data for assignment to build connective endings showed reliability between evaluators in analyzing accuracy of connective endings was 95.3% and according to the retest, reliability between evaluators in analyzing accuracy of connective endings was 96.2%. Fourth, a result of comparing accuracy of test-retest for screening data for assignment to build connective endings by grade exposed that the test and the retest had numeric differences in accuracy by connective ending category, while they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s.
The screening data developed by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nine questions with three questions in opposition, simultaneity and purpose, respectively and is expected to be used in clinical sites as screening data basics to build connective endings. In addition, when example questions are necessary, questions with high scores in reliability- question 3 in opposition; question 2 in simultaneity; and question 2 in purpose- will be selected for the screening data.
Now that this data has been validated for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leading to building syntax structures including connective endings and screening the ability, it can be used as therapy arbitration or evaluation data.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data for screening data. However, further studies to provide representative data standard are expected to conduct after performing examinations among a variety of subject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