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K-pop, 인터넷과 방송을 통한 한국 드라마, 영화 등의 인기로 인해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최근 한국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K-pop, 인터넷과 방송을 통한 한국 드라마, 영화 등의 인기로 인해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외에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관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한국어 교육은 대부분 보통 1년 정도의 기간을 예상하는 정규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한국어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방학이나 휴가 등을 이용해 짧게는 2~3일에서 길게는 한 달 정도 한국에 체류하면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자신이 학습하는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을 체험해 보고자 하는 단기 교육 과정 학습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짧은 기간에 급속도로 학습자 수가 증가했기 때문에 단기 과정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위한 연구는 그 규모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단기 과정은 정규 과정과 달리 교육 기관에 따라 한국학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기도 하고 문화 영역에 대한 비중도 높다. 그러므로 기존의 정규 교육 과정과 차별화 되는, 단기 교육과정의 특징에 맞는 교육 과정과 교수요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단기 과정이 과정에 맞는 교재가 따로 개발되어 있지 않아 기존의 정규 과정 교재를 사용하거나 상황에 따라 여러 종류의 교재를 편집해 사용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물질적인 것을 꼽으라 하면 바로 교재를 떠올릴 수 있을 만큼 교재는 중요한 요소이다. 정해진 교재가 없다는 것은 그 과정에 대한 교수요목과 교수 방법 등 여러 가지가 확정되어 있지 않다는 뜻이므로 단기 과정의 실정에 맞는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