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분석·평가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함에 있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 발행되는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는 총 8단...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분석·평가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함에 있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 발행되는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는 총 8단계의 교재가 개발되었고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신청하면 무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국립국제교육원의 위탁을 받아 개발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는 2002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교재의 개발목적과 교육과정·교수요목의 선정, 교제체제의 설계과정을 두 차례에 걸친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다. 이를 기초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고 비교·분석할 것이다. 또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학습자는 재외동포와 아동이라는 두 가지 특성이 있다. 이 두 가지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교재가 구성되었는지가 논의의 초점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는 재외동포 학습자 특성을 통하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성격을 살펴보고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의 목적과 원리를 알아본다.
3장에서는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를 5종의 기관교재, 한글학교 교재, 기타 아동용 한국어 교재와 함께 외적 구성, 내적 구성, 교수학습 상황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다.
4장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3가지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재외동포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재정적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교재에서 차지하는 문화 영역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재외동포 학습자 특징을 고려하여 언어기능별 과제활동을 조직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기존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의 교수학습 상황, 외적인 구성, 내적인 구성 등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 향후 교재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problems and suggest an improvement scheme for existing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nstitute for 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problems and suggest an improvement scheme for existing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consigned by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started to develop from 2002, and its development purpose, selection of an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and educational procedure and design procedure of textbook structure were explained twice in s.
Based on this, I will compare and analyze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Further, people who study Korean with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have two characteristics. One is overseas Korean and the other is children. I will focus if this textbook has been organized taking these two points fully into consideration. First, in chapter 2, I will review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through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learner, and look into purpose and principle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for overseas Korean.
In chapter 3, I will divide and compare Korean textbook for overseas Korean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external structure, internal structure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with five different kinds of institutional textbook, Korean language school textbook and other Korean textbook for children. In chapter 4, I pointed out problems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 in three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on understanding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for overall structure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external structure and internal structure and suggesting improvement plan based on this so that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could be suggested.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