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design a syllabu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presentation that could improve the presentation competence of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 used interview method, questionnaire method, a...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yllabu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presentation that could improve the presentation competence of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 used interview method, questionnaire method, and observational method. The interview method and questionnaire method were each conducted targeting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nd professor,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Korean presentation targeting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nd their demands o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were understood. Along with this process, by observing the aspects of how the students conduct their presentation, the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possibilities of stimulation that the interview or questionnaire method have and supplement the limits of elicitation.
Each chapter of this study contains following content: In the first chapter, the objectiv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re disclosed, preceding studies are examined, and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second chapter, the theories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the study are introduced along with the discussion on the notion of key words used in this . Chapter III is composed of largely two parts. The first part, as a preparation stage for designing the syllabus, collects data and analyzes the result; and the second part, discusses the specific process and the actual content of designing the syllabus. Lastly, chapter IV organizes the content discussed in earlier chapters, evaluates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study, and concludes the by suggesting further studies.
This study designs and suggests a specific syllabu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Korean presentation to improve the presentation competence of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by helping them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of presentation. Although the syllabus designed in this study could not be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therefore could not verify its effects. However it has the significance of contributing to vitalization of the study field that has been alienated by conducting the study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Korean presentation that has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을 기르고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 발표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을 기르고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 발표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면접법과 질문지법, 관찰연구법을 사용하였다. 면접법과 질문지법은 교수자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한국어 발표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수행 양상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면접이나 질문지법이 가지고 있는 유인 가능성과 간접적인 자료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각 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기술하였다. 이어지는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의 소개와 더불어 본고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용어에 관한 개념들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하나는 교수요목을 설계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자료의 수집과 그 결과의 분석에 대한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구체적인 과정과 실제 모형을 제시한 부분이다. 그리고 마지막 Ⅳ장에서는 앞에서 다루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본고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을 살핀 후 이어질 연구에 대해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매듭지었다.
이 연구는 발표의 전체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한국어 발표 교육 교수요목을 설계하여 제안한 연구이다. 비록 연구자가 설계한 교수요목을 교육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입증해 보이지는 못하였으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크게 주목 받지 못하였던 한국어 발표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그동안 소외되었던 연구 분야의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