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현재 국어학 분야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모두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법항목인 한국어 피동 표현을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쉽고 효율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
본 논문은 현재 국어학 분야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모두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법항목인 한국어 피동 표현을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쉽고 효율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한국어는 문법상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며 피동 표현 또한 예외가 아니다. ‘被’자문 혹은 피동의 의미를 갖고 있는 ‘受到’,‘遭到’,韩语毕业论文,‘得到’등 어휘들이 서술어로 사용되어서 표현되는 중국어 피동 표현과 달리, 한국어 피동 표현들은 형태적 피동 표현, 통사적 피동 표현, 어휘적 피동 표현과 같은 유형으로 나뉘며 피동 표현 서술어도 아주 다양하다. 그리하여 다양하게 세분화된 한국어 피동 표현을 사용하려고 할 때, 중국인 학습자들은 복잡한 선택에 대면하게 될 것이고, 또 각 피동 표현들의 정확한 특징들을 잘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적절하지 않은 피동 표현을 사용하여 비문을 만들 우려가 있다. 한국어 피동 표현에서 타동사는 항상 형태적인 변화를 입고 사용되어야 한다. 중국어 피동 표현에서는 타동사는 능동문과 피동문에서 형태의 변화가 없이 똑 같은 형태로 사용된다. 중국어 형태적 피동표현 ‘被’자문에서는 능동문에서 피동문으로 전환할 때, 타동사 앞에 ‘被’자만 붙고 타동사는 형태적인 변화가 없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문을 사용할 때도 타동사의 형태적인 변화를 소홀히 하고 타동사의 형태적인 변화과정 없이 그대로 서술어로 쓸 우려가 있다. 또한 교착성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피동 표현은 파생규칙을 정하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피동의 논의를 가장 어렵게 만드는 요소는 피동사의 파생을 규칙적으로 논할 수 없다는데 있다.
이상의 한•중 피동 표현의 대조와 차이점을 바탕으로 하여, 과연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 표현에 대해서 어려운 점들은 무엇인가를 예측하고, 또 교재를 통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과 학습자들이 실제로 많이 범하고 있는 오류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한•중 피동 표현의 개념, 범주, 유형, 담화적 특징들을 살펴보고, 한•중 피동 표현들을 여러 가지 통사적 구조로 하위 분류하여 구체적인 대조를 해보았다. 대조를 통해서 추출해낸 차이점들을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할 한국어 피동 표현의 어려운 점들을 대략 예측해 보고 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방안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교재를 통해서 본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에서 한•중에서 편찬된 교재들에 실려 있는 피동 표현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들을 분석기준의 틀에 따라 분석을 해보고 장단점 및 특징들을 살펴보았고 실제 교육방안에서는 이들 교재를 서로 상호 보완하여 장점들을 서로 접목하여 교육방안에 포함시켰다.
중국인 학습자들의 피동 표현 사용 실태에서는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어 문화 교육센터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3, 4, 5급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시험지 약 300분 정도를 수집하여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피동 표현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과연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 표현을 얼마만큼 사용하고 있으며, 또 각 피동 표현 별로 정확률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많이 범하게 되는 오류들의 원인은 무엇인지 분석해보았다. 그리하여 2장에서 예측한 오류들과 학습자들이 실제로 많이 범하는 오류들이 무엇들인지 살펴보고 이러한 오류들을 예방할 수 있는 내용들도 교육방안에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5장에서는 2장 한•중 피동 표현의 대조를 통해서 본 한•중 피동 표현의 차이점, 3,4장에서 살펴본 한국어 피동 표현의 피동 표현 교육과 학습자들의 피동 표현 사용실태 등을 접목하여 이 모든 내용을 결합한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쉽고 효율적인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방안을 마련하였다.
,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