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신체어를 중심어로 한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 간의 차이... 본 연구에서는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신체어를 중심어로 한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대응 표현 간의 차이점 및 표현 특징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먼저 연구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구체적인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그 후 한국어 신체어휘 및 한국어 연어에 관한 기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고, 어떤 문제점이 존재하는지를 주제별로 살펴본 후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대조언어학, 연어, 그리고 신체어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조언어학의 개념 및 의의를 간략히 살펴보았고, 연어의 정의, 유형, 연어와 관용어와 자유결합을 구분 짓는 특징에 관한 선행 이론들을 정리한 후, 본 논문에서의 연어에 대한 정의와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신체어휘 및 신체어 연어에 관한 개념 정의를 하고 본 연구의 의의도 밝혔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신체어 연어 목록을 선정하는 데 있어 『한국어 연어사전』의 신체어휘 표제어를 우선 검토 대상으로 삼고 적절성, 사용빈도 및 등급을 검토하였다. 일차적으로 선정된 이들 표제어를 신체어휘의 분류에 따라 대상 범위를 정하고 연어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신체어 연어의 부위별 비율 및 유형의 분포, 그리고 한?중 표현의 대응 원칙 등을 자세히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한?중 대응 표현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세 가지 방법에 따라 대응 결과를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통사적, 그리고 형태?의미적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대응 유형별로 한?중 신체어 연어 표현 간의 차이점 및 표현 특징들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먼저 한국어 신체어 연어의 통사적 대조의 결과는 두 가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하나는 연어 구성 요소 간의 통사 관계에 대한 비교?분석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어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통사적 구성에 대한 것이다. 한편 형태?의미적 분석은 한?중 표현 간 형태 및 의미의 대응 양상을 총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어에서 대응어가 있는 경우는 ‘동형동의’형, ‘동형이의’형, ‘부분이형동의’형, ‘완전이형동의’형 네 가지 대응 유형으로 나누고, 중국어에서 형태적으로나 의미적으로 모두 대응 표현이 존재하지 않는 ‘대응의 부재’를 더하여 총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대표적인 예들과 함께 구체적 설명을 기술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4장에서 대조 분석한 내용 전반에 관한 특징을 통사적, 그리고 형태?의미적으로 나누어 대조 결과를 총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본 연구 전체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그리고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대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한국어 신체어 연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의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한국어 연어의 통사적, 형태?의미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어 연어가 중국어에 대응하는 양상을 분석한 것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효과적인 연어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기계 번역, 한?중 연어 대역사전 구축 등에도 참고 자료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