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과거 회상 관형사형 어미 ‘-던’과 ‘-았던’을 사용할 때 나타난 다양한 중간언어 변이 양상을 주목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중간언어는 학습자들이 외국어...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과거 회상 관형사형 어미 ‘-던’과 ‘-았던’을 사용할 때 나타난 다양한 중간언어 변이 양상을 주목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중간언어는 학습자들이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생성한 목표 언어를 말한다. 중간언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모습들은 중간언어 변이라고 한다. 학습자들의 변이는 아무런 이유가 없이 무체계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이유와 근거에서 생긴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문법 항목을 사용할 때 내적으로 적용되는 결합 규칙이 있다. 본고는 그러한 변이 양상과 학습자들이 문법을 사용하는 데 내적으로 적용되는 규칙을 알아보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던’과 ‘-았던’의 의미 기능은 다양하고, 동사와의 결합 규칙은 다른 관형사형 어미와도 다르다. 또한 ‘-던’과 ‘-았던’이 시제, 서법, 상과 밀접하게 얽혀 있어 학습자들이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그의 형태적 복잡성과 의미적 다양성에 비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그만큼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학습자들이 실제로 ‘-던’과 ‘-았던’에 대해서 어느 정도로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이 ‘-던’과 ‘-았던’에 대한 인식조사, 문법성판단테스트, 번역테스트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중급, 고급, 초고급 학습자 각 20명씩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지가 연구자의 의도에 의해 작성된 것이기에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언어 자료를 얻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는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자료들을 통해 알아본 학습자들의 중간언어 변이는 미사용, 과사용, 혼동, 단순 활용 오류 및 실수 등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변이들을 보이는 요인을 세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먼저 언어적 요인으로는 받침의 유무, 상대 시제, 특수 어휘 등이 있었다. 고급과 초고급 학습자에 비하여 중급 학습자들의 언어에 단순 형태적인 변이와 실수가 더 많이 나타났다. 고급 학습자들의 언어에는 퇴행(backsliding) 현상이 일어났지만 초고급에 올라가서는 올바른 형태로 구성된 목표 언어 자료의 입력, 스스로 수정을 통하여 목표 문법 항목에 대해 유창성과 정확성을 갖추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언어 수행 상황적 요인으로는 그들이 번역 테스트에서 보이는 변이 양상이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보이는 변이 양상보다 훨씬 다양했다. 심리언어적 요인으로는 전략 사용, 모국어에 의한 전이 등이 있었다. 그 중에 회피 전략의 사용 현상이 나타났다. 한 중 대조분석을 통해 예측한 학습자들의 변이 양상이 다시 확인되었다. 학습자들이 ‘-던’, ‘-았던’의 의미 기능, 그들의 차이, ‘-(으)ㄴ’과의 구별, 결합 규칙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하는 경향, 적절한 맥락에서 의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갖추면서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점검 인터뷰에서 변이의 이유를 확인하면서 학습자들의 내적 적용 규칙을 알아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과거 회상 관형사형 어미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학습자들의 요구, 변이 양상, 목표 문법의 특성을 고려하여 ‘-던’과 ‘-았던’의 교수・학습 내용을 형태, 의미, 통사적으로 나누어서 구성하였고 내용들을 단계별로 나누어 위계화 시켰다. 중급과 고급, 초고급 학습자들의 변이 양상을 보이는 데 나타난 차이를 고려하여 중급에서는 형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고급 내지 초고급 단계에서는 올바른 형태로 구성된 자료의 입력, 그리고 해당 문법 항목에 대한 입력 강화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수정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에 따라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는 대조분석이나 오류 분석 연구에 비해 중간언어 변이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가 아직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의 언어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나아갔지만 그들의 내면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교수・학습 하는 데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후 점검 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내면을 알아볼 수 있었다. 또한 교수・학습 모형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목표 문법 항목에 대한 위계화를 시켰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