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텍스트와 한국어 텍스트, 한국어 모어화자의 텍스트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이며, 텍스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한국어 텍...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텍스트와 한국어 텍스트, 한국어 모어화자의 텍스트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이며, 텍스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한국어 텍스트 작성 시 주의 사항들과 보다 완성도 높은 텍스트 작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하고, 한국어 교사에게는 한국어 텍스트 작성 지도 시 지침이 될 만한 사항들을 제시하여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선행연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모국어 쓰기와 외국어 쓰기에 대해 알아보고 한・중 텍스트의 기본적인 특징, 텍스트 구성과 기술방법, 한국과 중국의 설명적 텍스트와 논설적 텍스트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특징들과 차이점들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학습자들의 텍스트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학습자들의 중국어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그 중 중국어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며 다양한 오류양상을 보이는 텍스트를 추출하여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학습자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오류의 양상을 파악하고, 학습자가 즐겨 사용하는 표현들, 텍스트 구조, 기술방법, 표지 사용 양상 등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한국어 텍스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자들의 오류들을 제시하고 그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주의 사항과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중국어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며 다양한 오류양상이 나타나는 학습자의 텍스트를 선정하여 예를 보이고, 학습자의 오류, 즐겨 사용하는 표현과 학습 발달 단계에 대한 표현, 그 밖의 오류들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 역시 그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주의 사항과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또 한국어와 중국어 텍스트를 교차 평가하여 3종의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학습자의 텍스트를 예로 들어 좀 더 자세히 분석하고 이 역시 그 사이에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해 한국어 학습자들과 교사들을 위한 주의 사항과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하위권 학습자와 상위권 학습자의 텍스트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비교하고 또 상위권 학습자와 모국어 화자의 텍스트도 다각도에서 분석・비교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연구들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과정과 결과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오류양상과 비교적 정확한 오류의 원인 파악 분석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 본고에서는 중국어 텍스트의 기본적인 특성과 구성, 텍스트 기술방법들을 꼼꼼히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앞으로의 많은 연구들에서 소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많은 분석 결과들과 함께 제시된 오류양상들과 모국어 간섭들도 중국어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연구들에서 긴히 쓰일 것으로 예상되며, 함께 제시된 학습자들과 한국어 교사들을 위한 텍스트 작성 시 주의 사항들과 한국어 교수 시 지침들도 한국어 학습과 교수에서 귀중한 자료로 쓰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과 결과들로 학습자들은‘한국어 오답노트’를 작성할 수 있고 한국어 교사들은 각 학습자에 맞는‘맞춤식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중국어 수준이 뛰어나야 한다는 점과 모든 텍스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해당 학습자에게만 맞춤식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언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오류분석을 통해 오류를 예상하고 교육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 한국어 교육에서 오류 분석에 대한 연구들은 이미 많이 진행되었으며 따라서 이제는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어떻게 해 주는 것이 좋을 지에 대한 방법 연구, 특히 개개인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그 검증결과까지 보여줄 수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특징들을 파악하고, 텍스트 특성과 구성, 텍스트 기술방법들을 한국어의 특성들과 분석・비교해보는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