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ight of task choice, types of difficulty preferences, quality of mother-child relationship on motiv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interection effect. The study established the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ight of task choice, types of difficulty preferences, quality of mother-child relationship on motiv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interection effect. The study established the study subjects as follow, according to the study purpose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ight of task choice and motiva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difficulty preferences and motiva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otivation?
4. How do the right of choice, types of difficulty preference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interactively affect child’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3 preschoolers of two five-aged classes in 3 kindergartens in Kwang-ju.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ght to choose tasks and the types of difficulty preferences. To attain the goal, the Planning Task used in Gauvain and Perez (2008)’s study was utilized after being modified properly for the level of 5-year-old children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o measure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designed by Rohner (1985) for children was utilized. Referring to the Korean version sent from the author, this researcher translated and modified it again to use it for this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child’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measurement scale (Work Preference Inventory)’ designed by Amabile (1990) for undergraduates and working adults was translated and modified properly for the level of five-year-old children to be used in this research. This tool referred to here is the one used in Jin Gyeong Hee (2002)’s research after proper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for children, and this researcher translated and modified it again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3 WAY ANOVA were conducted.
Thereby, this study gained the followings results.
First, children in a group wanting their mother to assign tasks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est, challenge, and material reward on average than the group of children wanting to choose tasks on their own,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challen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is implies that not having the right to choose tasks doesn’t mean reduced motivation as an unilateral route, and mother’s assigning of tasks can rather be a crucial factor to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of challenge. Also, from this result, we can infer the types of tasks experienced by children with their mother at home and the tendency of difficulty.
Second, challenge and interest, the sub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showed high preference to difficult tasks. However, social/material reward, the sub factor of extrinsic motivation, did no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difficulty preferences.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challenging tasks enhance child’s intrinsic motivation, and tasks difficulty in extrinsic motivation does not work as a variable.
Third, children who are familiar with their moth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suing material reward among extrinsic motivation than those that are not and gained a higher average. It seems to be becaus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makes children experience social/material rewards, the extrinsic motivation that can be gained in relationship with others, relatively more frequently, and they continue to pursue it. Also, it has been analyzed that immediate and visible material rewards work as a bigger motivating factor in terms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childhood.
Fourth, in the area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right to choose tasks, task difficulty, and quality between mother and child showed no interactional effect. The possible reason this study gained the above stated results is that autonomy, capacity, or intimacy was disregarded as represented by the right of choice, task difficulty, or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also because of the effects among unintended variables and limitations and als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childho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ools as well.
본 연구는 과제 선택권, 과제 난이도 선호 유형, 어머니-자녀 관계의 질이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위 세 변인이 어떤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
본 연구는 과제 선택권, 과제 난이도 선호 유형, 어머니-자녀 관계의 질이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위 세 변인이 어떤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과제 선택권은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2. 과제 난이도 선호 유형은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3. 어머니-자녀 관계는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4. 선택권, 난이도 선호 유형, 어머니-자녀 관계는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에 어떤 상호작용적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광주시에 소재한 3개의 사립유치원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15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 선택권과 과제의 난이도 선호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Gauvain과 Perez(2008)의 연구에서 사용 된 Planning Task를 예비연구를 통해 만 5세의 유아의 수준에 적절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자녀의 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Rohner(1985)가 유아를 대상으로 제작한 ‘어머니의 허용-거부 측정 도구(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저자로부터 받은 한국어 버전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다시 번안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내적·외적 동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mabile(1990)가 대학생과 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제작한 ‘내적·외적 동기 측정 도구(Work Preference Inventory)’를 만 5세 유아의 수준에 적절하도록 번안ㆍ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국내에서 진경희(2002)가 유아에게 적절하도록 번안ㆍ수정하여 먼저 사용한 것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시 번안ㆍ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 검증과 3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과제를 배정해주기를 바라는 집단의 유아들이 과제를 스스로 선택하고자하는 유아 집단에 비해 흥미와 도전, 물질적 보상에서는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가지며 특히 도전영역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과제의 선택권을 갖지 않는 것이 동기수준의 감소라는 일방적인 경로를 갖는 것이 아니며, 어머니에 의한 과제의 배정은 오히려 도전이라는 내적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유아가 가정에서 어머니와 경험한 과제의 형태와 난이도의 경향성을 추론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내적 동기의 하위 요인인 도전과 흥미에서 어려운 난이도 과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외적 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적/물질적 보상에서는 난이도 선호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전적인 과제는 유아의 내적 동기 유발에 영향을 미치며, 외적 동기에서 과제의 난이도는 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와 관계가 친밀한 유아들이 그렇지 않은 유아들에 비해 외적 동기 중 물질적인 보상 추구의 유의미한 차이를 남기며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이는 어머니와의 관계가 친밀한 유아가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외적 동기인 사회적/물질적 보상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경험하고, 계속적으로 이를 추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유아기 발달적 특성상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물질적 보상이 동기를 이끄는 더 큰 유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내적·외적 동기영역에서 과제 선택권, 과제 난이도, 어머니-자녀 관계의 질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자율성, 역량, 친밀감의 내용이 선택권, 과제 난이도, 어머니- 자녀 관계의 질로 대변되면서 간과된 점들, 의도하지 않았던 변인들 간의 영향과 제한점, 유아의 발달적인 특성과 연구 도구의 특성으로 추론된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