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ving conditions of migrant families through the Multiculturalism and welfare needs, and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survey is to present. Data collection for this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Ulsan, South Korea and 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ving conditions of migrant families through the Multiculturalism and welfare needs, and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survey is to present. Data collection for this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Ulsan, South Korea and the Department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02 and analyzed the conclusion follows.
First, the marriage of immigrants feel great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an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to feel the difficulties and the lack of interaction with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ar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of life in Korea, respectively.
Second, marriage, immigrants have felt the difficulty of raising children do not know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is a slow, higher, learning and homework support for children in the active help was difficult.
Third, look at the status of home economics, multicultural family in the midst of economic difficulties and a need for the employment of married immigrants were higher.
Fourth, migrant significantly higher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s.
Fifth, the neighbors do not work right with the life challenges, include difficulties with uisasotongyijal do not have different skin color or ignored due to cultural differences was also the issue of severance of exchange.
Sixth, migran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religious groups, most from the Korean experience in education in the service were received.
Seventh, the mos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for Korean and cultural adaptation include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placement, support the cost of living were the order of age, duration of marriage, depending on the policies need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
Based 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ies suggested improvements are as follows.
First,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language skills of communication for providing systematic training with Korean Immigrants and the need for a multi-language services
Second, multicultural families to improv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and active support for the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Child's language development and basic learning skills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ird, marriage, job training and employment of immigrants, economic and social independence through increased support to strengthen the capacity as members of society to be self supporting active policies are needed.
Fourth, the majority of honyiminja the center's policy of support for the entire family, yet the lack of a policy of integration, because integration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strengthened.
Fifth, the multicultural awareness beomgukminjeok for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active efforts are needed.
Sixth,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strengthen the partnership through the ridge - the tube through coordination of services to reduce duplication and waste of the budget sh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 will be.
Sevent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nd active promotion of the multifaceted needs.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조사를 통해 다문화가족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한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10...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조사를 통해 다문화가족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한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한 자료 수집은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자들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크게 느끼고 있으며 자녀 교육 시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가족 및 이웃과의 교류가 부족해 한국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민자들은 자녀양육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데 한국어를 잘 몰라서 학습효과가 느리다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녀들을 위한 학습 및 숙제지원에도 적극적인 도움이 어렵다고 나타났다.
셋째, 가정경제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족은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결혼이민자의 취업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민자의 결혼생활 만족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한국인의 결혼생활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웃주민들과 생활에서 힘든 점 으로 는 말이 통하지 않아 의사소통이잘 되지 않아 겪는 어려움과 더불어 피부 색깔이 다르다고 무시하거나 문화적 차이로 인한 교류의 단절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여섯째, 결혼이민자의 대부분은 시민사회단체 및 종교단체에서 한국어교육에 대한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장 필요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으로는 한국어 및 문화적응 교육, 직업 교육 및 취업알선, 생계비 지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결혼기간에 따라 필요한 정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한국어 능력에 맞는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제공과 더불어 결혼이민자를 위한 다중언어서비스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발달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자녀의 언어발달 및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보육 및 교육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결혼이민자의 직업교육 및 취업지원확대를 통한 경제적 사회적 자립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구성원으로써 자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혼 이민자 중심의 지원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어 가족전체를 통합하는 정책이 아직은 미흡하므로,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합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범국민적으로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관의 파트너 쉽 강화를 통한 민-관의 협력체계를 통해 서비스의 중복과 예산낭비를 줄이고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여 야 할 것이다.
일곱째,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