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재한몽골학교 초등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geared toward childre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who received education in Mongol International School, which was the first domestic foreign school for migrant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geared toward childre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who received education in Mongol International School, which was the first domestic foreign school for migrant workers' children.
As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is on the rise, there is an ensu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Their children should receive systematic education on the Korean language to step up their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but Korean language education mostly cater to adult learner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s geared toward children of migrant workers is urgently required. Mongol International School that teaches childre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provides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at school just relies on textbooks to conduct that education without any particular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Mongol International School, as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s is increasingly stressed.
Chapter 2 discussed multicultural socie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catered to children of migrant workers, which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state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migrant workers. Two different approaches were taken tow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chool children of migrant workers based on usual language education practices for child learners. One w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and the other was communication- 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investigated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 International School to offer an overview of i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sign of a curriculum.
To find out learner nee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 needs survey should be implemented, and Chapter 4 conducted a survey to check the needs of elementary learners in that school.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urvey cover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s, their experiences of entrance into Korean school, parent-related environments of being exposed to the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raschool use of the Korean language and daily use of colloquial Korean in order to find out their functional needs for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Chapter 5 set the objects and objective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chool and the school children's needs, and had a discussion on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objectives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different stages from a beginner's level to advanced level to offer differentiate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nd syllabuses for three different lessons were presented to boost the Korean proficiency of learners to ensure their successful communication in school and daily routine life. One w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and another w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cademic and cognitive transfer stages. The third was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culture.
Finally, Chapter 6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on the design of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geared toward childre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iscuss and design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ngol International School for children of migrant workers and the needs of student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Kor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본 논문은 국내 최초의 이주노동자 자녀 대상 외국인학교재한몽골학교로 범위를 정하여 이주노동자 자녀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초등한국교육과...

본 논문은 국내 최초의 이주노동자 자녀 대상 외국인학교인 재한몽골학교로 범위를 정하여 이주노동자 자녀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초등한국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 이주노동자의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이주노동자 자녀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학교생활을 위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어 교육이 성인학습자 위주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주노동자 자녀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이 시급하다. 재한몽골학교는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학교로 한국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지만 한국어 교육과정이 없이 교재에 의해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느끼고 재한몽골학교의 초등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이주노동자 자녀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다문화 사회와 이주노동자 자녀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교육의 현 주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주노동자 초등학생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해 어린이 학습자를 위한 언어 교육을 바탕으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재한몽골학교의 한국어 교육현황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인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은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참고자료로 반영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요구분석이 필요하다. 4장에서는 재한몽골학교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 요구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학습자의 개인 정보, 한국학교 입학 경험 조사, 부모와 관련된 한
국어 노출 환경, 한국어 교육에 관한 내용과 학습자들의 학교생활 내 한국어와 일상생활 한국어로 나누어 한국어 사용의 기능적 요구들을 파악하였다.
5장에서는 재한몽골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초등학생의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초등한국어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재한몽골학교의 특성에 맞게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초급1~ 고급1'단계로 목표수준을 정하였다. 학습자의 일상생활, 학교생활에서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함으로써 성공적인 의사소통 수행을 하기 위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인지적․학문적 전이단계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위에서 논의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초등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재한몽골학교의 특성과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반영하여 초등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