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국제결혼을 통해 낯선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되고 새로운 환경에서의 의사소통문제, 사회․문화적 적응문제, 경제적문제, 가치관 대립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국제결혼을 통해 낯선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되고 새로운 환경에서의 의사소통문제, 사회․문화적 적응문제, 경제적문제, 가치관 대립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을 직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녀양육이라는 부담감과 스트레스도 가지게 된다. 자녀중심적 교육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한국사회속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어머니로서의 역할 혼란을 가지게 되면서 자신감을 잃게 된다. 이러한 자녀양육의 스트레스와 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양육을 받는 자녀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양육행동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114명이고, 질문지 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일반 사회학적에 관한 질문과, 양육스트레스(PSI/SF), 양육효능감(PSOC), 양육행동(IPBI)의 3가지의 연구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통계패키지인 SPSS/WIN Ver. 15.0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빈도(N)와 백분율(%) 산출과 일원분산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자녀기질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국가, 학력, 한국어실력, 자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녀관계에서는 출신국가, 취업여부,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기대 스트레스에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실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부모효능감에서는 어머니의 출신 국가,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부모불안감에서는 한국어실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역할과 흥미에서는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국가, 취업여부,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양육행동 중 제한성에서는 취업여부, 한국어실력, 자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양육행동 중 애정성에서는 출신국가, 취업여부, 한국어실력,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행동 중 반응성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국가, 취업여부, 자녀수,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양육행동별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합리적 지도는 자녀관계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이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한성은 부모효능감과 부모불안감이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정성은 부모효능감, 자녀관계 스트레스, 학습기대 스트레스 3개 요인이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반응성은 자녀관계 스트레스만이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낯선 환경에서의 양육시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양육에서 겪는 긴장감과 어려움(양육스트레스), 양육에 대한 기대와 자신감(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 제시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긍정적인 자녀양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함으로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덜어주고 실천적 사회적 도움을 제시하여, 한국사회에서 늘어가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자녀, 가족의 행복한 생활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