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방언의 격조사 연구 : 방언 구술 담화 자료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개별 언어는 지리ㆍ사회ㆍ문화적 요인에 의해 분화된 방언연속체(dialect continuum)로 이루어져 있다. 방언은 규범적이고 획일적인 표준어와는 달리 음운, 문법,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현...

개별 언어는 지리ㆍ사회ㆍ문화적 요인에 의해 분화된 방언연속체(dialect continuum)로 이루어져 있다. 방언은 규범적이고 획일적인 표준어와는 달리 음운, 문법,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현대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과거의 언어적 요소들이 잔재한다. 또한 각 방언권에 따라 그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방언에 대한 연구는, 표준어의 영향력이 확산됨에 따라 사라져가는 방언을 보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 뿐만 아니라 방언에 내재된 과거의 언어적 현상을 유추해 냄으로써 언어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도 있다. 즉, 방언 연구는 한국어 역사의 여러 단면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가치는 아주 높다. 또한 각 방언권에 내재된 지역 문화 및 사회적 현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방언 연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어 방언 연구는, 크게 음운, 어휘, 문법의 순수언어학적 연구와 이들 논의를 바탕으로 한 방언 구획 및 방언 지도 작성 등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음운과 어휘, 방언 구획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문법 연구와 방언 지도 작성에 대해서는 크게 진척되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방언 문법 연구는 형태론을 중심으로, 형태 확인 작업과 각 형태에 대한 통시적 분석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전반적인 방언 문법 체계를 세우기에는 아직도 실증적 기술(description)이 모자라는 편이다.
한편, 형태론적 연구가 방언 연구의 중심이 되어 왔다고 하더라도 아직 조사(調査)되지 않은 어형이 상당 부분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조사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표준어의 경우, 조사의 형태 및 문법 기능이 대부분 분명하게 나타나는 데 비해, 방언은 형태조차 완전히 정리?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경북 방언의 조사에는 표준어에 없는 특이한 형태들이 보이며 경상북도의 하위 방언권으로 내려갈수록 하나의 형태에 대한 여러 가지 변이형이 많이 나타난다. 또한 표준어에서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 등 통사적 관점에서 조사를 분류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경북 방언 연구에서는 대부분 주격, 대격, 조격, 호격, 여격 등 형태별로 격범주를 설정하고 있다. 경북 방언의 이러한 조사 체계는 표준어와의 이질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문법 범주 및 기능 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각 방언권의 문법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문법 범주와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론은, 한 언어에서 분화된 각 방언권에 대한 제 현상을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세우는 데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방언 구술 담화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경북 방언에서 쓰이는 격조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조사 체계는 표준어와 동일하게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설정하고, 격조사의 형태 및 지역 분포와 형태별 기능 양상 및 특성을 분석해 본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격조사 형태들 중,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는 것들을 재분석하고, 지금까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를 밝혀 격조사의 목록을 작성함에 목적을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forms, area of distribution, type of function asp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ase particle which is centered on the data of dialect oral conversation in Gyeong-Buk dialect. Chapter2 introduces all sor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forms, area of distribution, type of function asp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ase particle which is centered on the data of dialect oral conversation in Gyeong-Buk dialect.
Chapter2 introduces all sorts of material, <韓國口碑文學大系-Gyeongbuk> 7-1 to 7-18, <Gyeongju Dialect Text>, <Gyeongsang-do Our dialect>, <Sarangbang Andong of Folk Culture> which is transcribed with Gyeong-Buk dialect. “The data of dialect oral conversation” is defined as the computerization process of each literature, an informer, a survey period, etc. It can be a basis on a study in dialectology involving phonology, grammar, lexis, verb, semantics, conversation, etc, and also be used according to purpose of various studies involving dialect division, dialect map framing, etc. It is worth to use the data of dialect conversation which can be studied with real language data.
Chapter3 is focussed on a case particle which is used in Gyeong-Buk dialect. In the standard language, a particle is classified from the viewpoint of a case particle, complemental and conjunctive case particle, etc, but until now the study of Gyeong-Buk dialect is set in case category of nominative, accusative, instrumental, vocative, dative cases, etc. This study system of Gyeong-Buk dialect shows a difference between heterogeneity with standard language, category of grammar and aspects of function. In this study, a case particle is divided into subjective, objective, complemental, adnominal, adverbial ([dative], [place], [comparative], [means], [quotation]), and vocative case particle, etc. and analyzed on the characteristics, types of feature aspects, area of distribution and type of each case particle. This is specifically as following.
First, the form of a case particle, which has never been discussed on the data of dialect oral conversation, is as following.
subjective case particle : 서러, 더러, 드러
objective case particle : 가
complemental case particle : 이/가
adverbial case particle
- [dative] : 게, 로, 기, 기에
- [place] : 게서
- [quotation] : 카고, (이)라
Next, various forms of a case particle, which has never been discussed on the data of dialect oral conversation, is as following.
objective case particle : (으)러
adverbial case particle
- [dative] : 하테, 한데, 한투
인드로
터러, 떠로, 드러, 뜨러, 트러, 두로, 데러
우게, 에가
잔테
- [place] : 아서
에서로, 이서러, 이서로
- [comparative] : 마큼, 마쿰, 마꿈, 마침, 맞춤
맨치러, 맨트러, 맹그로, 맨크러 ,
맨크로, 맨쿠로
카만, 카머, 카면, 카믄, 카모, 카몬, 카문,
카메, 커먼, 그먼
Finally, looking into the case particle based on types and area of distribution, forms in the standard are relatively being used a lot than forms in Gyeong-Buk dialect. This real aspect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social view of standard language by education and various media, and also tends to use the forms specifically in low local dialect.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