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상호작용 행동유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발달의 특성상호작용 행동유형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발달의 특성상호작용 행동유형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유아가 있는 교육기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비참여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적 코딩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다수의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언어발달, 사회·정서적발달, 인지발달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였으며, 교사의 개별적인 지도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부모의 양육태도’의 인과적 조건으로 인하여 ‘유치원 적응의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가정 교육여건의 미비’와 ‘가정의 어려움과 지역사회 연계의 부족’이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정 유아가 주변세계와 상호작용 하며 대처할 상호작용의 중재적 조건으로는 ‘교사와 또래의 지원’과 ‘유아의 언어능력’이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가 유치원에서 적응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상호작용의 행동유형으로는 ‘눈치보기’ ‘무조건 참기’ ‘모방하기’ ‘또래와 어울리려는 시도하기’, ‘힘을 사용하기’의 대처전략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대처전략에 따라서 ‘심리적 불안’ ‘적응노력’ ‘제한된 관계’의 결과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유형은 ‘주변탐색형’ ‘모방하기형’ ‘관심끌기형’ ‘무력사용형’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법과 사회적 기술을 위한 중재 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이들에게 적합한 교육적 지원과 가족지원의 방향성을 알아보고,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behavioral types of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ir teachers.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conducting partici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behavioral types of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ir teachers.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conducting participant observ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t preschool and individual interview sessions with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1990).
This study revealed four important findings.
First, most of multi-cultural children had relative difficulties in linguistic,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d ‘experiencing difficulty in adapting to preschool’ phenomenon by causal conditions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mothers’ and ‘foster parent’s attitude'. And contextual conditions were ‘lack of quality educational circumstance’ and ‘lack of community connections'. And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eacher and peer supports' and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coping strategies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to adjust to a preschool were like the followings: ‘reading facial expression’, ‘enduring unconditionally’, ‘imitates’, and ‘trying to work get along with other children'.
These coping efforts caused ‘psychological anxiety’, ‘adaptation effort’ and ‘limited relationships'.
Fourth, interaction patterns of multi-cultural children could be defined as ‘type of environmental search’, ‘type of imitation’, ‘type of attention’ and ‘type of force use'.
Finally, this research presented the necessity of the instruction on appropriate communications methods and social skills for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ground knowledge in order to set the right direction for providing comprehensive family care and in particular, educational supports for young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