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세계화의 흐름과 지구촌이라는 개념으로 국가 간 인구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외국인 간의 결혼, 또...
현대사회는 세계화의 흐름과 지구촌이라는 개념으로 국가 간 인구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외국인 간의 결혼, 또는 외국인과 한국인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사회도 급격한 다문화 사회로 돌입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사회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은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일반가정과 다른 환경에서 자란 다문화가정 아동은 학교생활에서도 문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나 현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63명으로 하였다. 학교적응 척도,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긍정적일수록 학교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이 제안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친구, 교사)와 학교적응 사이에서도 자아존중감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이러한 매개변수의 효과가 커질수록 학교에 적응을 잘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 외국인 어머니를 위한 프로그램은 대부분이 한국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와 전통풍습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의 교육 실태와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도 함께 다문화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어머니의 국적 비율이 높은 나라부터 시작해서 그 나라의 언어, 지리적 위치, 풍습, 문화 등을 배우고 나누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런 시간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머니의 나라에 대한 자긍심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반아동에게는 다른 나라에 대해 단지 수업시간에 배우는 교과서적인 이해가 아니라 그들의 가치관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를 존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셋째, 학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교육을 통해 수업시간에 교사가 언어나 행동으로 자신도 모르게 다문화가정 아동을 차별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학급에서 일반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이 잘 지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특히 학교마다 있는 다문화가정 담당교사의 교육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고민과 어려움을 들어주고, 이들이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