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성격유형과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를 비교해 보고,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성격유형과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를 비교해 보고,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교사에게 제공해 주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와 일반아동 간의 성격유형에는 어떠한 차이 가 있는가? 둘째, 수학영재와 일반아동 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는 어떠 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집단 내 성격유형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 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수학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4~6학년 수학영재 180명과 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일반아동 190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김정택과 심혜숙에 의해 한국어판으로 표준화된 어린이용 성격유형검사 ‘MMTIC’를 사용하였으며, Guglielmino의 아동용 SDLRS-E를 김지자가 번역한 것을 토대로 안이숙(1998)이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한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를 다음과 같이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성격유형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카이스퀘어검증으로 변수 간의 상호 독립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은 성격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호경향에서는 수학영재는 일반아동보다 내향형, 직관형, 사고형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판단형과 인식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성별에 따른 선호경향 차이에서는 사고형과 감정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수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감정형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기질유형에서는 수학영재는 일반아동보다 NT형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SP형 비율이 낮았다. 하지만 집단 내 성별에 따른 기질유형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유형에서는 수학영재는 일반아동보다 NT형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SF형 비율이 낮았다. 그리고 집단 내 성별에 따른 기능유형 차이에서는, 일반아동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ST형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성격유형에서는 수학영재는 일반아동보다 ENTP 비율이 더 높았으며, 일반아동은 수학영재보다 ESFP 비율이 더 높았다. 하지만 집단 내 성별에 따른 성격유형 차이에서는 수학영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ENFP 비율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ENTP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일반아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ESFP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학영재는 일반아동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았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학습 기회에 대한 개방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 학습에의 솔선수범 및 독립, 학습에 대한 책임감,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미래지향성, 창의성, 기본학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에서 수학영재가 일반아동보다 뛰어났다. 하지만 집단 간 성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요인에서는 일반아동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책임감이 강했으며 미래지향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집단 내 선호경향, 기질유형, 기능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선호경향에서는 수학영재는 외향형, 직관형, 감정형, 인식형이, 일반아동은 외향형, 직관형, 사고형, 판단형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뛰어났으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요인에서는 수학영재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을 유의미하게 가지고 있었으며, 수학영재 직관형이 감각형보다 창의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일반아동 사고형은 감정형보다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이 많고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을 가지며 기본학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이 유의미하게 뛰어났으며, 수학영재 인식형은 판단형보다 미래지향적이며 기본학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이 유의미하게 뛰어났다. 기질유형에서는 수학영재는 NF형이, 일반아동은 NT형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SJ형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요인에서는 수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기질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유형에서는 수학영재는 NF형이, 일반아동은 ST형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지만, 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요인에서는 일반아동 ST형과 SF형 간의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일반아동 ST형은 SF형보다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을 더 가지고 있었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