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개념, 도입역사, 언어적 비중 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조사하여 살펴봤다. 한국과 베트남은 문자가 없었을 때 중국 문자인 한자를 (漢字) 차용해...
본 논문에서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개념, 도입역사, 언어적 비중 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조사하여 살펴봤다. 한국과 베트남은 문자가 없었을 때 중국 문자인 한자를 (漢字) 차용해서 사용했다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한자어가 양국 국어 체계의 일부이며 이는 배제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많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한자어의 도입 시기는 한국과 베트남에서 다소 상이하지만, 양국 국어 한자음의 근원은 당나라(唐)의 한어(漢語)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어원적으로 한어(漢語)를 비롯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한자어가 양국 국어에서 60~70%정도 차지하며, 이를 기인하여 양국 국어의 한자음이 많이 유사한다고 제시하였다. 양국 한자어에 관해서 많은 연구를 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 양국 한자어에 가운데 한자어휘 및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해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했던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음운체계를 통해 양국 국어의 음운 체계를 잘 살펴볼 수 있고 대응 관계를 많이 찾아낼 수 있었다. 양국 한자어의 초성, 중성, 종성 체계를 제시하였고 비교도 진행하였다. 한국어 초성은 국어 자음 19개 중 경음인 ‘ ㄸ, ㅃ, ㅉ’ 및 음가가 없는 ‘ㅇ’을 제외하면 15개만 초성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중성은 ‘ㅒ’만 제외하면 모든 모음들이 한자어에서 중성으로 나타난다고 조사했다. 그리고 국어의 종성은 7개 기본음 중 ‘ㄷ’ 을 제외하면 6개 ‘ㄱ’, ‘ㄴ’, ‘ㄹ’, ‘ㅁ’, ‘ㅂ’, ‘ㅇ’ 만 한자어의 종성으로 사용된다고 제시했다. 베트남어는 초성체계가 단자음과 복자음(이중모음 및 삼중모음)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베트남어 초성의 22개 자음 중 r (ʐ), g, gh(ɣ) 을 제외하면 20 자음이 베트남 한자어의 초성에서 나타난다고 제시했다. 중성 체계는 부모음 (-u-, -o-) 및 정모음이 있고 부모음이 고유어와 한자어에 많이 들어가고 정모음이 16개 중 ‘e’ 과 ‘ưa’ 를 제외하면 15개 정모음이 베트남 한자어에서 나타난다고 견해를 했다. 베트남 한자어의 종성 체계는 ‘zero’음을 제외하면 8개가 종성이 있는데 이 중에 /m, n, ŋ, p, t, k/ 6대 자음이 및 반모음 2개 /-w, -j/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어와 달리 베트남어는 성조언어라서 성조체계도 제시하고 정음의 위나 아래에 성조를 표시하는데 성조에 따라 어휘 의미가 달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음성조나 저음성조가 모두 베트남 고유어와 베트남 한자어에 나타난다고 밝혔다. 즉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초성, 중성, 종성의 수가 다소 상이하지만 많은 대응 관계를 비교∙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수의 사례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 대응 관계를 통해 많은 양국 한자어의 어휘 및 음가가 어떻게 유사한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양국 한자어가 바로 중국어의 어원에서 비롯하여 각 시기에 걸쳐 변경됨에 따라 각 나라마다 상이한 한자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어원적인 요소를 여전히 다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어휘와 음가에 있어서 유사점도 보인다고 언급하였다. 중국어를 어원으로 하여 이루어진 양국 한자어의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 제한이 있는 것을 보면 각 시기에 따라 결합 제한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天가 소리는 중세 한국어 시기에 ‘텬’ 이였는데, 근대 한국어 시기에 구개음화가 일어나 ‘쳔’으로 변이하며, 현대 한국어에 이르는 과정에서 ‘천’ 이 된 것이다. ‘田’자 도 마찬가지로 ‘뎐’이었는데 근대에 이르러서는 ‘젼’이 되며 현대 한국어에서는 ‘전’으로 표현된다. 베트남 한자어에서도 이러한 결합 제한이 각 시기에 따라 다른 점을 다수 찾아낼 수 있다.
이제까지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에 관한 연구들이 많은 언어학자에 의해서 수행된 바 있으나, 양국 한자어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비교∙연구한 사례는 아직 없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양국 한자어를 음운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비교∙연구를 진행하는 목적은 양국의 한문적 (漢文)인 요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취지와 함께, 양국 한자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해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양국 한자어에 대한 관심을 지니고 있는 많은 베트남인 및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참고할만한 학습 자료로써 이용되며, 양국의 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