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의성어ㆍ의태어의 한국어 대역 표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ims of this are to figure out frequency in use of onomatopoeic ∙ mimetic word in Japanese literary works, how well translated it's original sense and meanings with Korean translation and difficulties in translation process. This study com...

Aims of this are to figure out frequency in use of onomatopoeic ∙ mimetic word in Japanese literary works, how well translated it's original sense and meanings with Korean translation and difficulties in translation process.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Japanese onomatopoeic ∙ mimetic word with Korean translation based on examples which is expressed by five Japanese literatures and categorized into four classes : human, animal, object, nature.
As a result of analyze, there are total 1013 Japanese onomatopoeic ∙ mimetic word expressed and frequency in use of it is 1.2 words per pages in five Japanese literatures.
Translations comes to about 7% of the 67 cases are onomatopoeic word ∙ mimetic word meaning translation is missing and the missing of mimetic word 91%(61 cases), missing of onomatopoiec word 9%(6cases). For the most part the translation of mimetic word was missing.
Specially, the dictionary's definition exist,but 6% of the missing translation and the fact that this occur and dictionary's definition does not have 96% of the 170cases. It is noteworty that the translation is possible.
Also rates were listed in the dictionary ,mimetic word rates higher than onomatopoiec word. however the high frequency of missing translated mimetic word. Onomatopoeic word the recording ratio to be low translation omission frequency is low. With the results, there is a possible of knowing.the mimetic translation is more difficult than onomatopoiec translation.
In addition, when the onomatopoeic word ∙ mimetic word meaning translation of the missing appear from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t could see .the author want to appear realistic and the feeling of movemoment is not well communicated to the reader.
「谷川は昨日まで降り続いた雨で、ごうごうと勢いよく流れていた。」(あら164)
어제까지 내린 비로 많이 불어난 강물은 맹렬한 기세로 흐르고 있었다.(폭181)
as above,「ごうごう」is represented by the onomatopoeic.
The sound is a lot of rain swollen river flowing strongly but translation has been omitted in the original. It can not give realism of the original.
According to the dictionary,'굉굉' '큰소리가 울리는 모양'etc. are defined.
but the corresponding words to express feelings or the appearance of the river does not exist, detail are lacking a sound.
This means ,even though the meaning defined in the dictionary,the writer of the original's sound and shape to appear difficult to apply in the case.
The translator can not find an appropite representation of korean translation will be omitted.
There is to Korean translation of like this Japanese literary work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e actual presentation is available on a practical complement to the dictionary and translator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effort.
In addition,the people who researches japanese.thier only non-japanese as well, contiued interest in korean studies.this thinks becomimg the strong underlay. Then we will be able to digest the japanese literary work well.

본 논문은 일본의성어∙의태어가 일본문학작품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실제 대역되는 데에 있어 그 감각과 의미를 얼마나 충실히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며, 번역에 있어서의 어...

본 논문은 일본어 의성어∙의태어가 일본문학작품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실제 대역되는 데에 있어 그 감각과 의미를 얼마나 충실히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며, 번역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없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연구대상은 5편의 일본문학작품에 출현한 의성어‧의태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사람, 동물, 사물, 자연의 4개 범주로 구분 및 분류하여 예문을 바탕으로 한국어 대역표현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분석된 총 5개 문학작품에서 평균 1.2개/Page의 빈도로 총 1013개의 많은 의성어∙의태어가 사용되고 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역에 있어서는 전체의 약 7%에 해당하는 67개의 의성어∙의태어의 대역이 누락되어 있으며 이 중 의태어 누락이 91%(61건), 의성어 누락이 9%(6건)에 해당하여 의태어 부분의 대역누락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히, 사전(辭典) 정의가 존재하면서도 6%의 대역누락이 발생한다는 사실과, 사전(辭典) 미정의건 170건 중 96%는 대역이 가능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의태어가 의성어에 비해 사전(辭典)수록 비율이 높으면서도 대역누락 빈도가 높으며, 의성어는 수록 비율이 낮으면서도 대역누락 빈도가 낮다는 결과를 통해, 의성어 보다 의태어의 번역이 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한국어 대역에서 의성어∙의태어의 번역 누락이 나타났을 시,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현장감이나 생동감이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谷川は昨日まで降り続いた雨で、ごうごうと勢いよく流れていた。」(あら164)
어제까지 내린 비로 많이 불어난 강물은 맹렬한 기세로 흐르고 있었다.(폭181)
위 문장의 경우 비로 불어난 강물이 거세게 흐르는 소리를 「ごうごう」라는 의성어로 표현하고 있지만, 대역에서는 번역이 생략되어 원문에서의 현장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 사전에는 ‘굉굉’, ‘큰소리가 울리는 모양’ 등으로 의미를 정의하고 있지만 이에 대응하는 느낌이나 모양을 표현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아 강물의 세부적인 소리를 표현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는 사전에 의미가 정의되어 있어도 원 작품의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소리와 형태에 적용시키기 힘든 경우, 번역가 또한 적절한 우리말 표현을 찾지 못해 번역을 생략했을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이러한 일본문학작품의 한국대역에 있어서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표현을 바탕으로 한 사전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과 번역자의 경험과 표현력 향상을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들과 더불어 일본어를 공부하고 연구하는 이들의 일본어 뿐 만 아닌 우리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또한 우리가 일본문학작품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는 데에 든든한 밑받침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