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형 읽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 개인적 읽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초록 확장읽기활용한국읽기 교육 방안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실 수업을 제외한 일상생활에서 읽기 학습은 많이 부족하다. 교실수업에서 읽기를 ...

국문초록

확장형 읽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실 수업을 제외한 일상생활에서 읽기 학습은 많이 부족하다. 교실수업에서 읽기를 학습하고 있지만 시간 등의 제약으로 인해서 교육이 부족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읽기 텍스트에 대한 접근성은 높지만 활용성은 현저히 낮다. 학습자의 대부분이 읽기를 그저 글을 바르게 읽고 이해하는 학습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확장형 읽기(extensive reading)를 활용해서 교실수업에서 읽기에 대한 접근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방과 후에 학습자가 자발적인 읽기를 통해서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연구목적인 확장형 읽기를 통해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방과 후에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서 자발적인 읽기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읽기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제시하고 확장형 읽기의 원리를 제시하면서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를 비교 분석을 하였다. 확장형 읽기의 원리에서는 읽기 과정의 모형을 통해서 하향식 모형의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장형 읽기 텍스트의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개인적이고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분류해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확장형 읽기의 요구분석을 통해서 수업에서 활용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요구분석에서 대부분의 학습자가 읽기보다는 말하기, 듣기를 더 선호하였고 읽기자료에 쉽게 노출이 되어 있지만 읽기 텍스트를 읽는 시간은 부족하였다. 그것을 토대로 확장형 읽기를 강조하고 교실수업을 통해서 읽기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방과 후에 자발적인 읽기를 통해서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읽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 교실 수업에서 기본으로 할 수 있는 교안을 제시하고 확장형 읽기의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방과 후 활동에서의 읽기는 평가의 틀을 제시하였고 그것을 활용해서 학습자의 읽기에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하지만 학습자들이 평가의 틀을 과제로 생각하게해서 강압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점검으로 생각하게 해야 한다. 평가의 틀로 학습자를 확인하는 것은 오류를 막기 위해서다.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확장형 읽기라는 읽기의 방법 제시하였다. 읽기 교육에 있어 부족한 시간과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방과 후의 시간을 활용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평가의 틀을 이용해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능력을 점검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하였다.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ading outside of class in daily life is very insufficient. Many language programs are communication - centered, and the allocated time for reading clas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other skills. Also, many learners perc...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ading outside of class in daily life is very insufficient. Many language programs are communication - centered, and the allocated time for reading clas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other skills. Also, many learners perceive that reading means reading and understanding sentences correctly, so they do not seem to read much after school even though they have easy access to reading text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xtensive reading can help learners improve reading skills. Chapter 1 describes the research purpose, which is to study how extensive reading can help learners' reading skills,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 It also outlines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es which show that extensive reading outside of class helps in improving reading skills.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the principal of extensive reading, along with its significance. Also, it compares and contrasts intensive reading with extensive reading. It tries to suggest a top-down approach to teach extensive reading, based on the principal and classified extensive reading list, which can make learners motivated to read.
Chapter 3 suggests a teaching method using the analysis of extensive reading surveys. On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many learners prefer conversation and listening to reading, and they expressed that they have a lack of time to read texts in clas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the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in class in order to promote voluntary reading so that learners can continue to read after class and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Chapter 4 suggests a lesson plan and a basic framework for extensive reading to use in class and for after school activities. A framework of assessment is introduced as well, but learners should not be forced to use the framework of assessment. Instead,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use it as a guideline to check self improvement and to avoid making errors and thus they will voluntarily continue to read.
In sum, this study suggests an extensive reading method that will help learners to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The study proposes after-class reading activities that will compensate for a lack of time and ability in reading class. Finally, it suggests a framework of assessment to check learners' progress voluntarily.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