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LOVE'의 은유 연구 : 대중음악의 가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SARANG', or `LOVE', cross-culturally with the 383 lyrics found in Korean and English/American popular songs. The analysis i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SARANG', or `LOVE', cross-culturally with the 383 lyrics found in Korean and English/American popular songs. The analysis i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which is characterized by a mapping of a source domain onto a target domain.
First, the conceptual metaphor is analysed in 12 categories divided by the following types: [LOVE IS AN OBJECT], [LOVE IS A PERSON], [LOVE IS ILLSS], [LOVE IS MADSS], [LOVE IS A UNIT OF PARTS], [LOVE IS FLUID], [LOVE IS A JOURY], [LOVE IS FIRE], [LOVE IS PLANT], [LOVE IS A COLLABORATIVE WORK OF ART], [LOVE IS RAPTURE/ SADSS], and others.
It it found that, in the categories [LOVE IS AN OBJECT] and [LOVE IS MADSS], English/American lyrics use more conceptual metaphor than Korean pop lyrics, which compare `LOVE' to tangible or visible things, or to expressing the mind or feeling without any reservation.
In the contrast, in the categories [LOVE IS FLUID], [LOVE IS A JOURY], and [LOVE IS PLANT], Korean lyrics have a bigger proportion of conceptual metaphor than that of English/American lyrics. The character of Korean people, which values the virtue of lonely inward anxiety and indirect implicit expression of love, may be the background of this result.
In other categories, in spite that Korean and English/American are quite different in the social aspect of linguistics, the lyrics of the two languages have almost the same proportion of conceptual metaphor. Two languages seem to have similar metaphorical expressions about emotions because of the similarity in the processes of building concepts through physical experiences
Next, the lyrics under the consideration are analyzed by its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in the express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Korean expressions are much more skewed toward the negative attitude; 37.8% in the positive and 62.2% in the negative. On the other hand, English/American lyrics treat 'Love' positively in principle; 61.1% in the positive and 38.9% in the negativ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in English/American lyrics, `LOVE' is sometimes conceived as an inevitable negative symptom which brings tears, farewell, heartbreak, and pain in English/American lyrics. However, they describe `LOVE' mainly as a thing which gives joy and vitality making the life happy and beautiful, much more positively than Korean lyrics.
On the other hand, 'SARANG' in Korean lyrics is closely related to the pain and sorrow of departure so as to conclude that Koreans have the passive concept that love is a pain and a farewell. Such a conception may be attributed to the group-based life style and culture of Korean which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emotions and desires.
As seen above, the study of metaphor is not only a research a research on the universality of the language but also an analysis of expressions forged by the culture. Metaphor is a very natural linguistic phenomenon any physical force or any law can not control and it is a big assignment proposed to linguistics to look into the meanings of the comtemporary metaphors of the era.

지금까지 본 연구은유표현을 이용하여 가장 쉽게 쓰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인 '사랑/LOVE'의 사회문화적인 의미 차이를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 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지금까지 본 연구는 은유표현을 이용하여 가장 쉽게 쓰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인 '사랑/LOVE'의 사회문화적인 의미 차이를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 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사랑/LOVE'의 은유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한국과 영국·미국의 대중음악 가사를 중심으로 '사랑'과 'LOVE'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383구절의 은유 양태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사랑은 물건], [사랑은 사람], [사랑은 질병], [사랑은 통제부족], [사랑은 결합], [사랑은 액체], [사랑은 여행], [사랑은 불], [사랑은 꽃, 나무], [사랑은 예술작품], [사랑은 환희/슬픔], 기타의 12가지로 분류 하여, 이것을 기준으로 분석해본 결과 한국의 대중음악 가사에서 보다 영국·미국의 대중음악 가사에서는, 사랑을 직접적으로 만지거나 볼 수 있는 물건에 비유하거나, 사랑하는 감정을 통제 하지 않고 그대로 나타내는 [사랑은 물건], [사랑은 통제부족; 사랑은 광기]의 개념적 은유가 높은 빈출도를 보였다.
반면, 한국의 대중음악 가사에서는 '사랑'에 대한 개념적 은유 중 [사랑은 액체이다], [사랑은 여행], [사랑은 꽃,나무]의 빈도수가 영어 대중음악 보다 높았다. 은밀하고 소극적으로 남몰래 혼자 애태우거나, 간접적이며 우회적인 모습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배경에서 [사랑은 액체], [사랑은 여행], [사랑은 꽃,나무] 의 개념적 은유가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영어와 한국어가 언어사회적 측면에서 매우 다른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대중음악에서도 [사랑은 사람], [사랑은 질병], [사랑은 결합], [사랑은 불], [사랑은 협동적인 예술 작품], [사랑은 환희/슬픔]의 개념적 은유는 양쪽이 고루 분포 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 두 언어가 정서적인 비유표현에서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신체적 경험을 근거로 한 개념화 방법의 유사성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일상어가 아닌 대중음악에서도 사랑 표현에 관한 공통된 은유가 많은 까닭은 영어와 한국어 사용자들이 기본적인 감정에 관한 경험을 공유하면서, 그 공통된 체험을 기반으로 동일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고 그것이 각 언어에 은유적 표현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영국·미국의 대중음악 가사와 한국의 대중음악 가사의 개념적 은유 표현들을 또 긍정적 은유와 부정적 은유로 나누었다. 그 결과 영국·미국의 대중음악 가사에서 'LOVE'를 긍정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은유는 부정적인 표현보다 그 수가 월등히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수적인 비율을 비교해 보면 영어 가사 총 113구절 중 ‘LOVE'에 대한 긍정적인 표현들은 69구절(61.1%) 이며, 부정적인 표현은 44구절(38.9%) 이였다. 또한, [사랑은 물건], [사랑은 사람], [사랑은 결합], [사랑은 여행], [사랑은 꽃, 나무], [사랑은 예술작품], [사랑은 환희]의 개념적 은유가 긍정적인 표현이 높은 빈도수를 보이고 있었고, 부정적인 표현이 더 많은 은유는 [사랑은 불], [사랑은 액체], [사랑은 질병], [사랑은 통제 부족; 사랑은 광기]의 개념적 은유이다. 또한 한국의 대중음악 가사에서는 총 270구절 중 긍정적인 표현이 102구절(37.8%), 부정적인 표현이 168구절(62.2%)로 부정적 표현이 긍정적 표현의 거의 배에 달한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영국·미국의 대중음악 가사에도 'LOVE'를 눈물이나 이별, 상처, 아픔을 가져오는 부정적인 것으로, 이별을 불가항력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보다 'LOVE'는 기쁨과 활력을 주는 것이며, 인생을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것이라는 긍정적인 인식을 훨씬 많이 나타낸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한국어 노래 가사들을 보면 이별은 슬픔의 감정과 사랑의 감정 모두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사랑이 곧 슬픔이며 이별'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이 담겨있는 것이다. '사랑'에 대한 이런 인식은 물론 개별적인 감정의 억제가 권장 되어온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유학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한국의 문화는 집단주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집단주의 문화 유형에서는 정서 체험과 그 표출 양상의 특징이 개인주의 집단과 큰 차이를 보인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보다 '우리'라는 인정 중시 현상이 두드러지는 한국의 문화는 개인적 감정을 외부적으로 표현 하는 것이 전통적으로 억제 되어 왔다. 이러한 정서 통제의 전통에서는 표출되지 못한 정서를 내부에서 삭히도록 장려 되었고, 이것이 우리 민족의 응축된 독특한 정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은유에 대한 연구는 언어의 보편성뿐만 아니라 언어의 개별성, 특히 문화와 관련된 언어표현과 해석을 탐구 하는 것이 된다. 은유는 물리적인 힘이나 법으로 통제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언어 현상이므로 그 시대에 사용된 은유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은 언어학의 큰 과제라 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