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reading activity which is students centered education method for teaching text-structure and markers from teaching Korean academic writing on the students’ text’s cohesion and coherence for th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reading activity which is students centered education method for teaching text-structure and markers from teaching Korean academic writing on the students’ text’s cohesion and coherence for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he subjects were 24 Chinese students, who attended Korean intermediate class at K universities’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in Kyonggi-do, and they were taught about Korean text through the integrative teaching of reading and writing for five weeks. Their composition texts were assessed by two Korean lecturers and analyzed with two-independent samples t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s texts, who study Korean text structure, markers, and the contents with reading activities, were received higher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ontents coherence evaluation. Assessing categories on the contents coherence were the text contents’ consistency and intention and the text contents’ identity and completion. As the result of assessing,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ere at least 1 poin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our kinds of expository text-structures such as enumeration, contrast and comparison, cause and effect, problem and solving texts,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p<.05 leve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texts, who study Korean text structure, markers, and the contents with reading activities, were received higher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tructural cohesion evaluation. Assessing categories on the structural cohesion were writing a text in the three stages, using the appropriate text structure according to its subject, and the appropriate markers according to its text structure. As the result of assessing,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ere at least 1 poin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our kinds of expository text-structures such as enumeration, contrast and comparison, cause and effect, problem and solving texts,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p<.05 level. Thirdly, to verify whether the assessing result of students’ text has difference in the four kinds of text structu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and as the result of ANOVA,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size was only twelve, it was verified that the text-structure did not have effect on the students’ text in this study.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active reading activity had affirmative effects on the cohesion and coherence of students’ composition texts because the learners could study text-structure and marker. It also verified the role of reading script and the importance of reading activity because it showed that reading activity had effects on not only structural cohesion but contents coherence such as producing ideas and expressing with appropriate ways. Those results would have a meaning for the integrative teaching of reading and writing and the base material for Korean text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에서 텍스트의 구조와 구조 표지를 능동적인 읽기 활동이라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과 통합하여 교수할 때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에서 텍스트의 구조와 구조 표지를 능동적인 읽기 활동이라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과 통합하여 교수할 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K 대학교 국제교육원의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5주간의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텍스트 구조 교육을 실시하고 학습자 텍스트를 두 독립표본 t-검정으로 평가·분석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한국어 쓰기 교육의 흐름과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텍스트 교육과 읽기-쓰기 통합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읽기의 과정과 쓰기의 과정을 알아보고 두 과정 사이의 관련성을 기술하여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텍스트의 개념을 정리하고 텍스트 구조, 텍스트 구조 표지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읽기 활동을 통한 텍스트 교육이 학습자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의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5주간의 실험 내용을 예비 실험과 본 실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경우로 나누어 기술하고 이를 평가할 평가 도구와 채점 척도에 대해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수집된 학습자 텍스트를 평가, 비교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고 Ⅴ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와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 구조와 내용의 전개 방식을 파악하고 구조 표지를 학습한 실험 집단은 교사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와 구조 표지를 학습한 통제 집단에 비하여 내용적 결속성의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내용적 결속성 측면의 평가 항목은 텍스트의 내용이 일관되어 필자의 의도가 전달되는가 하는 내용의 통일성과 의도성에 대한 것과 텍스트 내용이 주제에 맞게 열거, 비교-대조, 원인-결과, 문제-해결의 구성 방식으로 진행되어 텍스트가 완결되는가 하는 내용의 정체성과 완결성에 대한 항목이었다. 채점 결과, 열거, 비교-대조, 원인-결과, 문제-해결의 네 가지 유형의 거시 구조에서 실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별로 각 평가 항목의 점수를 두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텍스트 구조에서 유의 수준 .05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읽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 구조와 구조 표지를 학습한 실험 집단은 교사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와 구조 표지를 학습한 통제 집단에 비하여 구조적 결속성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구조적 결속성을 평가하는 항목은 텍스트가 서론, 본론, 결론의 삼단 구성으로 짜여있는가 하는 것과 주제에 맞게 열거, 비교-대조, 원인-결과, 문제-해결의 텍스트 구조가 명시적으로 드러나는가, 그리고 텍스트 구조 표지가 적절히 사용되었는가 하는 것이었다. 채점 결과, 네 가지 유형의 모든 거시 구조에서 실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각 항목에 대한 두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는 모든 텍스트 구조에서 유의 수준 .05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읽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 구조와 구조 표지를 학습한 실험 집단이 작성한 열거, 비교-대조, 원인-결과, 문제-해결 텍스트의 평가 결과가 텍스트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참여한 집단의 수가 12명으로 적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사전 텍스트 구조를 학습하지 않은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구조의 유형이 작문 구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읽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 구조와 구조 표지를 학습하는 것이 학습자 텍스트의 결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읽기 활동은 외적인 구조를 평가하는 구조적 결속성에서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아이디어의 생성과 표현 등 내용 구성면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읽기 텍스트의 역할과 읽기 활동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예비 실험과 본 실험을 통한 결과로 알 수 있듯이 텍스트 쓰기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읽기 텍스트의 작성과 쓰기 과제의 주제를 선정함에 있어서 텍스트의 구조적 정보나 내용적 정보가 학습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그러한 환경을 제공하였을 때 학습자가 그 텍스트를 소화하고 동종의 텍스트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의 실시하는 경우는 그 교육의 목적을 분명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 읽기-쓰기 통합 교육과 한국어 텍스트 교육의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