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itions of learner that is learning foreign language is outcome that can be used for examine and review what learner has learned. This is same for foreign learners learning Korean. Especially, when writing more precision is required to use than t...
Compositions of learner that is learning foreign language is outcome that can be used for examine and review what learner has learned. This is same for foreign learners learning Korean. Especially, when writing more precision is required to use than the same expression field, speaking. Thus more effort is needed from Korean learners to acquire correct writing skills.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writing skills efficiently, instructor tries various trainings and practices on learners, and one of the essential in this process is feedback of instructor and error correction of learner.
In order to provide feedback to writing composition of learner, it is necessary for Korean instructor to systematically analyze errors in composition of learner and recognize what method of feedback will be given. Since error correction of learner is essential process to reach to learners desired Korean ability level, feedback in Korean study should not be ended in one time and have the power of continuous influence on writing ability improvement of the learner.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fficient feedback guidance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by finding feedback method that provides the most positive influence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of Korean learner.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composition procedure of ‘Process-centered writing education’ is referenced, performing circulation method of learner’s composition, feedback, and renewal. Next, 31 learners of 3rd class studying at identical Korean education institution are divided into two test groups, one group receiving indirect feedback, while other group receiving direct feedback. There can be some difference due to learning semester of spring and summer etc, but time interval between composition and feedback by learner groups were uniformly maintained.
While progressing the experim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each learners of testing groups were collected to set standard to check whether learner characteristics affect leaner error correction and at the same time, standard of error analysis is prepar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s standard of error analysis can analyze all situations of vocabulary, grammar, and conversation, it is decided and range is set by marking how is the shape of error, in what degree is that error affecting the understanding of composition, until where is that range of error, and where is that error corrected.
First composition and its feedback, second composition, feedback, and third composition should be progressed in method correcting the content of identical topic and content of first composition to compare learner error of before/after feedback. After this, perform extra task of fourth composition to check which feedback form is more efficient for writing education by comparing increase or decrease level of error occurred at fourth composition compared to first composition. The results are show as followings.
Reduction amount of first composition errors in the second composition is highest to group that received direct feedback. However, when writing fourth composition as extra task, the group that received direct feedback showed decrease in error rate but the error rate is increased again to three times than 2nd composition. Group that received indirect feedback showed decrease in error rate compared to first composition and similar error rate of second composition. Also in error difference depending on learner characteristics, direct feedback group had partial increase or no change in error by characteristics and even when error decreased, there were huge difference in reduction amount but indirect feedback group showed even error reduction.
Through series of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direct feedback is much more efficient when providing feedback on identical composition in Korean writing education than indirect feedback, but the feedback form that can improve writing skills of learner and also provide studying effect is indirect feedback method.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작문은 학습자가 학습한 것을 검토하고 복습할 수 있는 결과물이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이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쓰기에서는 같은 표...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작문은 학습자가 학습한 것을 검토하고 복습할 수 있는 결과물이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이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쓰기에서는 같은 표현 영역인 말하기보다 정확성이 더 요구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정확한 쓰기 능력을 갖추기까지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쓰기 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여러 훈련과 연습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필수적인 것 중의 하나가 교사의 피드백과 학습자의 오류 수정이라고 볼 수 있다.
학습자의 쓰기 작문에 피드백을 주기 위해 한국어 교사는 학습자의 작문에서 오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어떤 방식으로 피드백을 할 것인가를 인지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오류 수정은 학습자가 원하는 한국어 능력 수준으로 가는 필수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에서 피드백은 일회적으로 끝나지 않고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지속적으로 도움이 주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피드백 방법을 찾아서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효율적인 피드백 지침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작문 과정을 참고하여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학습자의 작문과 피드백, 고쳐 쓰기가 순환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다음은 동일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같은 3급의 학습자 31명을 두 개의 실험집단으로 정하여 한 집단은 간접적 피드백을 다른 집단은 직접적 피드백을 받도록 하였다. 이들이 학습하는 학기는 봄 학기, 여름 학기 등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연구를 하는 동안 학습자 집단별로 작문과 피드백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각 실험집단의 학습자들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집하여 학습자 특성이 학습자 오류 수정에도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는 동시에 선행 연구를 통해 오류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오류 분석의 기준은 어휘와 문법, 담화 상황 모두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오류의 모양이 어떠한지, 오류가 작문의 의미 이해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 오류의 영역은 어디까지인지, 오류가 수정되는 그 곳은 어디인지를 표지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범위를 정하였다.
1차 작문과 그에 대한 피드백, 2차 작문과 피드백, 그리고 3차 작문은 학습자가 처음 작성한 1차 작문과 동일한 주제와 내용의 작문을 고쳐 쓰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피드백 전후의 학습자 오류를 비교하였고 이후 추가 과제로 4차 작문을 하도록 하여 4차 작문에서 나타나는 오류가 1차에 비해 어느 정도 증감하였는지를 비교해서 어떤 유형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교육에 더 효율적인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차 작문의 오류가 2차 작문에서 감소하는 정도는 직접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더 높았다. 그러나 고쳐 쓰기가 끝난 후 추가 과제로 4차 작문을 할 때 직접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1차 작문보다 오류율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2차 작문보다는 오류율이 3배 이상 다시 증가하였다. 간접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1차 작문보다 오류율도 감소하면서 2차 작문의 오류율과 비슷한 정도의 오류만 나타났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오류 변화에서도 직접적 피드백 집단은 특성별로 오류가 일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고 오류가 감소하더라도 감소하는 정도에서 차이가 많은 편이었으나 간접적 피드백 집단은 오류가 고르게 감소하였다.
일련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동일한 작문에 대해 피드백을 할 때에는 직접적 피드백이 간접적 피드백보다 더 효율적이지만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학습 효과를 줄 수 있는 피드백 유형은 간접적 피드백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