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일기예보에 나타난 날씨 어휘장을 분석하여 날씨 관련 어휘의 형태 및 의미 정보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한국어 어휘 교육에 적용시키는 데 있다. 많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
이 연구의 목적은 일기예보에 나타난 날씨 어휘장을 분석하여 날씨 관련 어휘의 형태 및 의미 정보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한국어 어휘 교육에 적용시키는 데 있다. 많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에서 생활할 때 날씨에 관한 정보가 꼭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날씨 관련 어휘와 표현만으로는 외국인 학습자가 일기예보를 통하여 한국의 날씨 정보를 얻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한 이유로 날씨 관련 어휘 교육은 초급뿐만 아니라 중, 고급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일기예보 날씨 어휘장에서 빈도 높게 나타나는 날씨 관련 어휘 {비/기온/구름/날씨/눈/안개/바람/더위/추위}를 중심으로 각 어휘의 형태 및 의미 정보와 호응 서술어 정보를 구축하고, 아울러 일기예보에 나타나는 날씨 관련 문화 표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고자 한다.
각 장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앞선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날씨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하여 <SBS 8시 뉴스>에서 방송된 1년 동안의 <일기예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1년 동안의 일기예보에서 빈도 높게 나타나는 날씨 관련 어휘 {비/기온/구름/날씨/눈/안개/바람/더위/추위}의 형태 정보와 의미 정보, 호응 서술어 정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는지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어휘장 이론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날씨 어휘장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3장에서는 날씨 관련 어휘 {비/기온/구름/날씨/눈/안개/바람/더위/추위}에 대해 각 어휘가 형태적, 의미적으로 어떻게 확장되어 나타나는지 분석한 후에 어떠한 서술어와 주로 호응하여 사용되는지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형태 정보, 의미 정보, 호응 서술어 정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일기예보에 나타나는 날씨와 관련된 문화 표현을 절기와 계절, 명절과 생활문화로 나누어 분석한 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실제 한국어 교육에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초, 중, 고급의 각 단계에 맞는 날씨 관련 어휘 목록을 제시하고,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 교육 내용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날씨 어휘장을 활용한 어휘 교육 활동 방법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는 실제 일기예보 자료에서 구축한 날씨 어휘장을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형태 정보와 의미 정보, 호응 서술어 정보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문화 표현까지 분석해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어휘 교육은 단순히 어휘만을 학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어휘장을 활용하여 학습 단계별로 체계적인 어휘 목록을 제시하고, 언어 기능에 맞춘 어휘 학습이나 문화와 관련한 어휘 학습처럼 통합적인 어휘 학습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어휘 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morphology information and semantic information of weather-related term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ulted by analyzing the lexical field of weather in the weather forecast in Korea. A number of Korean langu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morphology information and semantic information of weather-related term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ulted by analyzing the lexical field of weather in the weather forecast in Korea. A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have believed that they need exact weather information of Korea for their daily life in the country. However they have experienced some hardships getting correct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weather forecast only with limited weather-related terms and expressions currently being educat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ducation of the weather-related terms should be carried out more systematically throughout the entire learning levels not only the basic but also the intermediate and the advanc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shows the morphology information, the semantic information, and the agreed predicate information of weather-related terms, focused on the terms of {be(rain)/gion(temperature)/gureum(cloud)/nalssi(weather)/nun(snow)/ang-ae(fog)/baram(wind)/deowi(heat)/chuwi(cold)}, which have been on high frequency in the actual weather forecast data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to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cultural expressions appearing in the weather forecast as well.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each chapter. In Chapter 1, presented are the purpose, the necessity, the object,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Also, previous studies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escribed. To establish the lexical field of weather, <Weather Forecast in News 8> aired on Seoul Broadcasting System during the last one year was used as the object of the study. The study show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morphology information, the semantic information, and the agreed predicate information of the weather-related terms of be(rain)/gion(temperature)/gureum(cloud)/nalssi(weather)/nun(snow)/ang-ae(fog)/baram(wind)/deowi(heat)/chuwi(cold)}, which have been on high frequency in the weather forecast during the year.
In Chapter 2, the lexical field theor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briefly examined.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the existing lexical field of weather in the Korean textbook being used in the current education field was analyzed. By this way, its problems and an improving scheme for the current lexical field of weather and education contents can be discussed in the concrete way.
In Chapter 3, it analyzes how the weather-related terms of {be(rain)/gion(temperature)/gureum(cloud)/nalssi(weather)/nun(snow)/ang-ae(fog)/baram(wind)/deowi(heat)/chuwi(cold)} have been derived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and shows agreed predicates of the derived vocabulary of each term. Moreover, it shows cultural expressions related to the weather after analyzing by the 24 solar terms and the season along with big holidays and living culture.
In Chapter 4, it shows how to apply the result obtained in Chapter 3 to the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uggested are vocabulary lists, education contents and instruction methods for each learning level so as to guide how to be organized by educators in the field. Finally, an example is presented to show one of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the lexical field of weather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Korean language educators with the concrete morphology information, semantic information and agreed predicate information to utilize the lexical field of weather built based on the actual weather forecast data, and, furthermore, it also provides additional terms by analyzing cultural expressions in the weather forecast. It is needed that we all should develop new language education methods to conduct integrated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vocabulary learning suited to language skill and associated with its culture, and suggest a systematic vocabulary list for each learning level utilizing the lexical field to take further steps forward from the current language education where merely vocabularies are being taught.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