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 교육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학습자들은 바로 해외의 한국어 학습자들이다. 왜...
최근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 교육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학습자들은 바로 해외의 한국어 학습자들이다. 왜냐하면 학습 단계가 높아감에 따라 언어 학습은 언어 문화의 이해와 비례하게 되는데, 한국 문화를 전혀 접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학습자들은 문화 이해의 결핍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나 인도의 학습자들은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비교적 자주 접할 수 있는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들과는 또 다른 상황에 처해 있다. 그들이 한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은 한국어 수업 시간의 교실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교실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들은 한국의 문화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것이 이러한 문화 내용이 적절하게 들어간 한국어 교재이다. 이러한 한국어 교재를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 속의 문화 맥락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국어 교육을 문화와 접목시킨 논의는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 문화를 교육할 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제시한 자료를 찾기는 쉽지 않다. 특히 한국 문화를 전혀 접하지 못하는 현지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문은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지화, 곧 외국의 교육 현장의 특성과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노력으로서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그 일환으로 한국어 교재에서 문화 교육을 어떻게 구체화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까에 대해 논하려고 한다.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비교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된 바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미 제기된 문제들을 어떻게 교재 속에 구체화할 수 있는지를 주로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그 구체적인 시도로서 본고에서 주요 변인으로 생각하는 학습자 환경 곧 인도라는 독특한 환경인 학습자 국가의 문화를 비교 검토함을 통해 구체적인 문화 항목을 설정하고자 한다. 문화 항목 설정의 방법은 선행연구자들의 문화 항목을 참고하되 인도 학습자들의 특성에 맞는 문화 항목 설정을 위해 유사성과 이질성의 원리에 따라 학습 단계에 맞는 문화 항목들을 분류하였다.
먼저 초급 단계에서는 문화 차이로 인해 오는 문화 거부감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목표 문화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따라서 유사성과 이질성의 항목 중에서 유사성이 큰 항목들을 많이 제시했다. 학습자들은 유사성을 바탕으로 이질성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급 단계에서는 문화에 대한 표면적 이해와 함께 이면적 이해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따라서 중급 학습자들 에게는 문화 비교를 통해 문화 차이를 이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유사성에서 이질성으로 문화 항목의 비중을 늘렸다. 고급 단계에서는 문화에 대한 이면적 이해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학습자들에게는 중급에서보다 더 까다로운 문화 항목들을 제시한다. 따라서 전통 문화·제도 문화에 있어서 이질성이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질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자국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 문화에 깊이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본고에서 논의한 한국어 문화의 내용별·단계별 목록은 하나의 시안이므로 완벽한 것은 아니다. 문화의 내용 목록은 더 추가되어야 하고 또한 단계별 목록은 더 분명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재조정할 수도 있다.
Recently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rea,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is brought into relief and many researches are under going. However, learners who need these cultural education urgently are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foreign cou...
Recently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rea,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is brought into relief and many researches are under going. However, learners who need these cultural education urgently are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foreign countries. That is because the language learning is proportional with the comprehension of the language culture according as studying level is increasingly high, but the learners in the environment which can not contact the Korean culture at all are bumping into the limitation by the shortage of cultural comprehension. Specially, the learners in India are placed under another different situation from ones in China or Southeast Asian countries who can contact frequently Korean movies or dramas by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All the space they can contact the Korean culture is just the classroom of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so if the education about the Korean culture is not carried out properly in the classroom, they can seldom contact the opportunity to contact the Korean culture. The need of learners in India under this situation is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contain these cultural contents properly. Learners through these Korean language textbooks can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s in the language and improv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y.
Therefore this treatise tries to study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ndians as the effort that can satis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ecessity in foreign educational spot, which means the localization. The one way is how we can elevate the educational effect by substantiating the 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Because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necessity to approach in the aspect of comparative culture have been discussed by preceding researchers,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how we can substantiate the suggested items in the textbooks. As the concrete attempt, this treatise will set up the specific culture item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culture of the learner's country (India) which is unique environment and main variable. Method of establishing the cultural item referred that of preceding researchers, but I classified cultural items which are suitable for study level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imilarity and heterogeneity to establish the cultural item which is proper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India. As the lis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and the steps of the Korean culture discussed in this study is a tentative plan, it is not perfect. The list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added more and also the list according to the steps can be adjusted by applying clearer and more reasonable standard.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