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study attempted to conduct basic questionnaires about English learning for specific interests. Comprehension and ex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study attempted to conduct basic questionnaires about English learning for specific interest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were monitored in two classroom settings: One where English was both the language of instruction and the target; the other with Korean as the language of instruction and English as the target. The 2 groups were taught for a period of 20 weeks, after which data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students who learned English through English had an influenced o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ccepted it and understood better than before. The groups were interested in speaking in English outside of class and doing activities which were based question-answer. Aside from writing difficulties, students responded well to listening and speaking domains.
Secondly, when the teacher conducted class in English at first, the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But the more students were exposed to English circumstances, the more they were close to the target. In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ve competence.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opinion and have a self-confidence to speak in English.
Problematic areas that arose included: students could practice only in a classroom and talk with their peers instead of English specialists or foreigners. Furthermore, when they got information wrong, they kept fossilization. If the instructor's English skills are poor, the effectiveness of his/her teaching decreases. The teacher's feedback can influence on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에 관 한 수업지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먼저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하는 한 학급과 한국어 위주의 영어혼용수...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에 관 한 수업지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먼저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하는 한 학급과 한국어 위주의 영어혼용수업을 하는 한 학급을 선정하여 영어 학습 에 대한 흥미도, 이해도, 표현도에 대한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주에 걸쳐 각각 학습한 후 학생들의 학습결과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고 영어의 이해도와 표현력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을 위주로 만든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게 한 뒤 각 두 학급의 학생들의 의사소통 향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 수업의 설문 결과를 통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진행하 는 학생들이 한국어 위주의 영어 혼용 수업의 학생보다 영어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았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변화를 가져다주는 요인으로 작 용했다.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영어로 묻고 대답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한 후 수업 시간 이외에도 영향을 미쳐 영어에 대한 관심을 갖았으며 이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게 했다. 쓰기 영역에서는 큰 효과를 보기 어려웠으나 듣기나 말하기의 경우 학생들은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고, 교사의 교실영 어는 대부분 알아들었으나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수업 시간의 모든 내용을 알아들은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영어에 노출되었을 때 의사소통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이해도 면에서는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이 나 한국어 위주의 영어 혼용 수업에서 뚜렷하게 큰 차이를 알 수가 없었으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영어를 더 쉽게 받아들이고 이해를 했다. 자기 평가지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표현력에 있어서 는 영어로 말하는 능력이 쉽다고 응답으로 보아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현저하게 표현력이 더 뛰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 고, 수업 시간 내의 교사의 영어를 다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전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자료 분석 결과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 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 진다. 교사가 영어로 영어 수 업을 진행했을 때 이해 면에서 처음에는 대체적으로 학생들이 힘들어했지만 점차 이해하기 쉬워졌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고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배운 표현력을 자신만의 언어로 만들어 봄으로써 가족이나 친구, 외국인과의 대화 에서 말하기에 자신감이 생겼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이 연속적으로 수업에 적용되는 데에는 문제 점이 있는데, 단지 교실에서만 영어사용을 함으로써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영어의 대한 오류에 대한 정확한 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는 학생들에게 화석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측할 수 없는 교실 현장에서 교사가 자연스럽게 영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없다면 영어로 진 행하는 영어수업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교사의 피 드백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써 매 차시마다 교육 과정에 부합되는 목표와 내용의 다양한 활동과 세밀한 학생들의 관찰이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에서 필요한 과제로 요구된다.
이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짧은 연구 기간과 두 학급만의 대상으로 비교 대조한 결과 얻은 결론 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을 통한 장기적인 연 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화석화 현상 을 막기 위한 교사의 영어 능력이 권장되어야 한다고 보고, 교사는 학생들의 표현력에 관심을 갖고 영어의 거부감을 버리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오류 수정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본다.
셋째, 학생들의 흥미와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관심을 잃지 않고 능력 향 상을 위해서 교사는 교과서의 영어 학습 내용 외의 다양한 활동을 연구하며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안을 구상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해봄으로서 효율적 인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