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사과 화행이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과 화행 후에 나타나는 사과 화행 인접쌍 전략과 그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구성의 ...
이 연구에서는 사과 화행이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과 화행 후에 나타나는 사과 화행 인접쌍 전략과 그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구성의 원리를 제안하여 그 실례를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아울러 이 연구와 관련이 있는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사과 화행 후의 응답으로서의 화행을 인접쌍(Adjacency pair) 개념을 통해서 알아보기 위해 인접쌍 이론을 살펴보고 공손 이론(Politeness theory)을 사과 화행 인접쌍에 적용시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사과 화행 인접쌍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현재 각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현재 한국어 교재들은 전반적으로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사과 화행 인접쌍을 소홀히 다루고 있었으며 교재에 다양한 사과 상황과 사회적 변인을 반영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과 화행 인접쌍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담화완성형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 DCT)를 이용하여 전략들을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상황별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이 연구에서 사회적 변인으로 설정한 공적?사적 장면, 친밀도, 사회적 지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는 다양한 사과 화행 인접쌍 전략들을 사용하였는데 사용된 전략들을 이해하기, 상대 염려하기, 대안 제시하기, 이유 묻기, 개선 요구하기, 보상 요구하기, 해결 방안 요구하기, 거절하기, 경고하기, 책망하기, 상황 제시하기, 감정 표출하기, 화제 돌리기로 유형화하여 이를 분석의 틀로 제시하였다. 사과 화행 인접쌍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전략은 이해하기 전략이고 사과자의 체면을 강하게 위협하는 전략인 책망하기, 거절하기와 같은 전략은 낮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과 받는 자 또한 사과자의 체면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전략 사용의 양상을 달리하였다. 특히 각 상황에 포함되어 있는 사과자와 사과 받는 자의 사회적 변인에 큰 영향을 받았다.
공적 장면과 사적 장면에 따른 분석 결과 두 장면 모두 이해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경고하기, 개선 요구하기 전략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공적 상황에서의 위반 행위를 더 심각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과자의 체면을 보호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이 적고 따라서 거절하기 전략이 사적 상황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위반 행위를 해결하려는 전략 사용에서도 공적 장면에서는 이유 묻기, 대안 제시하기 전략을 사용하여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였지만 사적 장면에서는 보상 요구하기 전략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친밀도에 따른 분석 결과 친밀도가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이해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지만 친밀도가 낮은 경우의 이해하기 전략 사용이 친밀도가 높은 경우보다 2배 가까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어 소원한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사과 받는 자의 체면을 고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과자와 사과 받는 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사과 받는 자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 압도적으로 이해하기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고 거절하기, 경고하기, 책망하기, 개선 요구하기와 같은 체면을 위협할 위험이 있는 전략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적 지위가 동등한 경우와 높은 경우에는 위의 체면을 위협할 수 있는 전략들이 상위 빈도로 사용되었다. 이를 통하여 유교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지위 관계는 체면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자신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의 체면을 중시하고 이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밝힌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구성의 원리를 제안하고 그 실례를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앞으로 사과 화행 인접쌍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룬 적이 없는 사과 화행 후의 사과 받는 자의 화행인 사과 화행 인접쌍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 기초 자료 구축에 도움을 주고 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를 제시하고 그 실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