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점검식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국내외 교사 피드백을 고찰하고 새로운 글쓰기 전략으로 자기 점검식 주석을 이용한 교사 피드백을 제안한다. 자기 점검식 피드백은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에 부합한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국내외 교사 피드백을 고찰하고 새로운 글쓰기 전략으로 자기 점검식 주석을 이용한 교사 피드백을 제안한다. 자기 점검식 피드백은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에 부합한 순환적이며 상호작용적인 피드백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 검검식 피드백이 한국어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자기 점검식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능력 향상영향미치는가? 두 번째, 자기 점검식 주석은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세 번째, 학습자 목표어 수준에 따라 자기 점검식 피드백의 효과가 달리 나타나는가? 네 번째, 자기 점검식 피드백은 학습자의 형태적 오류를 기억하고 내재화하는데 효과적인가?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총 4회에 걸친 작문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총 16명이 무선 할당되었다. 본 연구 문제에 따른 검증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의미와 형태 그리고 전체 영역에서 사전-사후 작문의 증가점수를 일원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형태 영역에서만 사전-사후 작문의 평균 점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자기 점검식 피드백의 효과는 형태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F=6.62, p=.02, r=.85). 두 번째, 주석의 수가 작문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형태 영역의 평가 항목별 주석 빈도수와 오류 감소율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주석과 오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67, p=.00). 세 번째, 목표어 수준과 자기 점검식 피드백 효과에 관한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 간 학습자 수준이 자기 점검식 피드백의 효과 차이를 입증할 만큼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네 번째, 자기 점검식 피드백과 기억효과에 대해서는 기억효과 시험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14.75점을 더 획득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F=5.53, p=.03, r=.82). 따라서 자기 점검식 피드백은 형태 영역에서 학습자의 기억효과를 돕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자기 점검식 피드백은 일정 부분 교육이 가능한 의미 영역보다 형태 영역에서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주석 훈련을 통해 주석의 수와 질을 높이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표본의 수가 적고 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에 국한하여 연구되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안적 쓰기 전략인 자기 점검식 피드백을 한국어 교육에 소개하고,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토대로 한 한국어 작문 교육 현장에 적용·실험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겠다. 앞으로 다양하고 효과적인 쓰기 전략과 도구들이 연구·개발되어 한국어 교육의 질이 향상됨을 물론 학습자의 글쓰기 교육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Self monitoring is considered interacting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circulating in process-oriented approach as a writing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monitoring feedback in Korean Composition class. This...

Self monitoring is considered interacting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circulating in process-oriented approach as a writing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monitoring feedback in Korean Composition class.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is self monitoring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omposition competence of the students? Second, do the annotations made by the students affect improvement of composition competence of the student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high-level and low-level groups which used annotations? Fourth, is self monitoring effective in allowing students to automatically recognize errors through using annotations in the form-based?
To investigate the questions,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four sessions of Korean composition class during 12 week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among form-based, meaning-based, and total-based, the self-monitoring feedback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form-based. Second, the number of the annotations are related with a decrease in students' form errors. In other words,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nnotations and students' competence of writing. Third, self monitoring feedback was not found to be more effective with higher level students. This result was caused by unsuitable grouping not to make sur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in the intermediate class. Fourth, on the test for memory effect, the experiment group that treated self monitoring feedback in the form-based recorded 14.75 point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self monitoring could help memorize what students noticed wrong longer and improve Korean writing skills.
In conclusion, self monitoring feedback has positive effects on Korean composition.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On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the small sample size, which did not allow generalizations to other students in other contexts. Another limitation was to not be proved that effect of the self monitoring on different level of Korean competent.
In writing education of Korean, it would be more important that the study of writing to develop varied and effective writing strategies and to keep study for students of learning Korean from now on.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