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사용 오류 분석과 교수 방안 : 조사 ‘이/가’, ‘을/를’ 그리고 ‘은/는’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어의 조사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들에게도 언어직관, 감각, 그리고 경험 등에 의존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그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습에 의해 한국어를 습...

한국어의 조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들에게도 언어직관, 감각, 그리고 경험 등에 의존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그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습에 의해 한국어를 습득해야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조사가 얼마나 큰 어려움과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을지는 충분히 예상이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어 교?강사가 가장 고민하게 되는 문법 항목 역시 한국어 조사이다. 한국어의 조사와 관련된 학습자들의 오류 형태는 매우 다양한 편이므로 때문에 이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문법 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에 필수요소임을 인정하고,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구사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법 형태소인 조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중국 학습자들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에 나타난 한국어의 조사 사용 오류를 분석한 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오류에 접근하고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가 중심을 이룰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조사를 바르게 이해하고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먼저 Ⅰ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선행 연구, 그리고 연구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Ⅱ에서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오류 분석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한다. Ⅲ에서는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떤 형태로 한국어의 조사를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해당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하고자 한다. Ⅳ에서는 오류 분석 결과를 활용한 한국어 조사 교육 방법을 구현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Ⅴ에서는 이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이 결과 학습자의 오류 현상에는 일정한 흐름이 있는데, 학습자의 학습 단계별로 조사를 처리하고자 하는 학습 전략이 상이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급 단계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조사 체계를 이해하고 의식적으로 이를 사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중급 단계 학습자들은 문법 수업이나 읽기 자료 등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국어의 조사 체계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고급 단계의 학습자들이 나타내는 조사 누락 오류에서는 의도성이 보이는 학습 전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볼 때 고급 학습자들은 자신이 무엇을 어려워하고 자주 틀리는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이를 회피하고자 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강사는 고급 학습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의 오류 항목을 정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에 대한 교수 모형은 학습자들의 정확한 한국어 조사 사용이라는 유의미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얻는 실제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수 모형이 개발된다면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roposition markers of Korean are so difficult to use that even native speakers of Korean often depend on their linguistic insight, sense and experience. It's only predictable how much difficulty and pressure foreign learners of Korean will have w...

The proposition markers of Korean are so difficult to use that even native speakers of Korean often depend on their linguistic insight, sense and experience. It's only predictable how much difficulty and pressure foreign learners of Korean will have with the proposition markers of Korean. In that sense, teachers and instructors of Korean language most worry over the proposition markers among the many different elements of grammar. Given that there are a wide range of error types made by foreign learners of Korean in regard to the proposition markers, it's urgent to arrange them systematically and approach them theoretically.
This study recognized that grammar skills were one of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communication skills and tried to search for the ways to teach the proposition marker, which are very tricky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to foreign learners in a more efficient and accurate manner. After collecting writings written by Chinese learners and analyzing their errors with the proposition marker of Korean, the investigator engaged in a methodological discussion about how to approach and resolve those errors on the fie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Chinese learners of Korean understand the proposition markers right and put them to use fluently.
Chapter I reviewed the goals of the study, the previous studies, and methodology. Chapter II examined the theoretical aspects of error analysis before entering the full-scale research stage. Chapter III investigated how foreign learners of Korean used the proposition markers of Korean during class and analyzed the errors made by them. Chapter IV tried to come up with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error analysis results. And finally, Chapter V presented th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certain flow in the learners' errors and that they adopted different learn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proposition marker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ges. The learners in the beginning level tried to understand the system of the proposition markers of Korean and use them consciously. Those in the intermediate level started to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the diverse proposition markers from the grammar classes or reading materials. And those in the advanced level tended to intentionally omit the proposition markers.
The learners in the advanced level seem to know well what proposition markers they had difficulty with and used wrongfully and accordingly try to avoid them intentionally. Therefore, the teachers and instructors of Korean language need to help them arrange their error items and resolve them for themselves. The teaching model for the nominative proposition marker, ‘이/가,’ and the auxiliary proposition marker, ‘은/는,’ suggested in the study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arners' accurate use of the proposition markers. If other teaching models are developed based on the practical data derived from the field of education, more significant results will be produced.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