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ly, South Korea has constructed base of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by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labor, North Korean defectors, multinational enterprise labor, tourists and illegal sojourners so that foreigners staying in So...
Currently, South Korea has constructed base of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by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labor, North Korean defectors, multinational enterprise labor, tourists and illegal sojourners so that foreigners staying in South Korea have occupied as many as 2% of total population to mak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country.
The process to b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country can be classified into nationalism, conservatism, the attitude of on-lookers and pluralism, etc.
The has examined problems of the relation between Mongolia and South Korea that starts to make change to b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country, and it has investigated improvem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ongolian's understanding on the South Koreans as well as the South Koreans' understanding on Mongolia, comparison analysis of the Korean and the Mongolian textbooks, and depth interview for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s of Korean-Mongolia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etc wer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first impression of both the Koreans and the Mongolians was mutually affirmative. The Korean people who have strong inclination of racism seem to think that both the Koreans and the Mongolians have same kinship by Mongolian spot.
Despite similar appearance, both people have a lot of differences in culture, languages and geography, etc. And, Korea often keeps position of powerful party against Mongolia.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have problems: The textbook of Korea includes contents only in the era of Mongolia's occup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ile that of Mongolia does no content on Korea. Both countries have education level as well as consciousness level that both people have similar appearance, because of no knowledge each other.
The depth interview of multi-cultural family showed much serious problems between both countries. Most of multi-cultural familyes consist of the Korean husbands and the Mongolian wives who mostly get married by illegal routes, so that they produce great problems. The problems are serious because the Korean husbands think that the immigrant women from Mongoli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are not the ones having personality but the ones like articles bought by paying. Most of the women at multi-cultural family are not given opportunitie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the Korean culture and to worsen the problems.
To solve problems of the 21st century multi-cultural era, the concerned parties, for instance, the Korean Government, the Mongolian Government, the Korean people, the Mongolian people, the Korean students, the Mongolian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world, etc shall make efforts a lot. So, the has suggested solutions.
First of all, the Korean people are demanded to cognize that Korea has already entered multi-cultural and multi-national society and to develop cultural and conscious level enough to meet changes of the society.
본 연구의 주제는 “다문화가정의 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연구로서 한 · 몽골 인식도 차이를 중심으로”이며,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인과, 한국인과 결혼한 몽골인, 그리고 그 ...
본 연구의 주제는 “다문화가정의 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연구로서 한 · 몽골 인식도 차이를 중심으로”이며,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인과, 한국인과 결혼한 몽골인, 그리고 그 자녀들의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세 가지를 중요한 연구 문제로 생각한다.
연구문제 1. 한국인과 몽골인들의 인식도차이에서 발생하는 몽골과 한국인들의 생각의 차이와 상대에 대한 이미지는 각각 어떠한가? 를 살펴보고 상호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한국과 몽골 교과서의 내용비교 분석에서는 한국 교과서가 몽골에 대해서 어떻게 기술하고 있으며 왜곡 된 사실은 없는가? 를 살펴보고 그 내용에 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한몽골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실태와 삶의 모습은 어떠한가? 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에 대해서-ⅴ-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한국인 및 몽골인의 상호인식도 조사’를 위하여 한 · 몽골 양국 국민들이 서로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어떤 고정관념을 상대에게 가지고 있는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방식은 지도교수와 협의를 통하여 설문지를 직접 제작 · 조사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총 26문항으로 제작되었으며, 보다 자세한 답변이 필요한 문항에 대해서는 서술형으로 추가 답변을 얻었다.
두 번째 ‘한국 몽골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에서는 한국 교과서에 나타난 내용을 통해서 한국 교과서가 몽골에 대해서 어떻게 서술하고 평가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로 인해서 한국인들에게 몽골에 대해서 왜곡 된 사실은 없는가 조사 하였다. 또한 몽골의 교과서나 역사서에서 한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몽골인들에게 알려주고 있는가와 왜곡 된 사실이 없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세 번째 ‘한 · 몽골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의 연구를 위해서는 자녀 교육의 실태와 관련하여 객관적인 상황을 찾기 위해서 조영달 등의 2006년도 다문화 관련 보고서에서 몽골인들 내용을 발췌하여 그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위해서 한 · 몽골 다문화가정에 직접 방문을 통한 심층면접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 사람과 결혼을 한 몽골 여성 및 한국에 유학중인 몽골 여성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그들의 한국 생활에 대해서 살펴보고 다문화 자녀들의 교육 실태와 요구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ⅵ- 연구 내용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한국인과 몽골인의 상호 인식도 차이에 대한 설문 조사 내용에서는 자민족우월의식과 자국중심주의 성향이 강한 한국인에게 몽골인은 같은 몽골반점을 지닌 혈족 또는 혈연이라는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인과 몽골인이 외모에서는 유사하지만 문화, 언어, 지리적으로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나타나는 서로의 다른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는 한국에서 몽골인에 비하여 경제, 사회적으로 강자의 입장에 있는 한국인들은 몽골인들에게 수평적인 인간으로서 대하는 것이 아닌 수직적인 관계를 요구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사고는 편견을 가져오게 되고 타국인에 대한 몰이해는 오해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몽골인들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게 되어 이러한 사고에 기초하여 차별적인 행동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한국과 몽골 양국의 교과서와 역사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한국 교과서에서는 몽골의 한국 지배기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서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침략자 또는 호전적 국민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교육되고 있으며, 몽골 교과서에는 한국에 대한 내용이 전무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나라의 국민들은 현재의 학교 교육으로는 서로를 제대로 이해 할 수 없으며 상대국의 국민과 나라를 피상적 수준이나 개인적 수준에서 이해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 · 몽골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의 실태에 대한 문제에서도 다문화에 대한 무지와 편견이 아이들에게 또 다른 모습의 차별적인 태도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층 인터뷰에서도 대다수의 한· 몽골 다문화가정은 경제적으로 도시의 빈민층이나 농촌의 빈농층인 한국인 남자와 몽골인 여성으로 이루어진 가정이며 이러한 경제적인 빈곤이 자녀들의 교육에서도 대물림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의 여성들은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미래는 더욱 심각한 사태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여 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그들의 실태와 요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인과 몽골인이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보다 폭 넓은 국가차원의 교류와 교육을 통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이 연구는 부족한 시간과 비용으로 조사대상자들에 대한 숫자적인 제한이 많았다. 앞으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분야에서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ⅶ-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