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남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과 방과 후 활동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다문화가정의 바탕 위에, 한국에서 살아가며 생기는 제반문제를...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남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과 방과 후 활동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다문화가정의 바탕 위에, 한국에서 살아가며 생기는 제반문제를 교육적 측면에서 파악하여, 아동들의 교육활동 지원과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가정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경상남도 창원시와 마산시의 어머니 국적이 일본 3명, 필리핀 4명, 베트남 1명, 태국 1명의 초등학생 10명으로 구성되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 및 방과 후 생활분석을 위해 아동과 부모님 그리고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시행하였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은 교실 수업, 학교 친구들과의 관계,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방과 후 활동은 교육활동과 가정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에서 먼저 교실수업을 살펴보면 국어과목에서의 받아쓰기와 문장표현력 부족, 낮은 수업 이해도, 사회과목의 어려움, 산만한 수업태도, 성적에 대한 인식의 괴리, 자신감 부족을 보였다. 그리고 또래집단과 교사로부터 따돌림을 당한 경험이 존재하였으며, 어머니의 대응 태도가 적극적인 경우 괴롭힘이 중단되었고, 소극적인 대응을 한 경우에는 계속되는 경우가 있었다. 교사의 다문화가정의 특성에 대한 이해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다문화에 대한 교사연수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학교친구들과의 관계를 보면 엄마가 외국이라고 놀림을 받은 경우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이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자신감이 없는지 혼자 행동하기, 소극적이며 수동적으로 따라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보면 교사의 질문에 엉뚱한 질문과 단답형 답변, 교사의 낙인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겪은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일반 아동들의 놀림을 해결하는 부분에서 교사역할의 중요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들도 일반 아동들과 다름없이 교사의 관심을 받고 싶어 했으며, 무반응으로 담임교사와 상호작용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었다. 아울러 교사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낮은 이해도와 언어전달과 문자해독력이 부족한 어머니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가정 통신문의 이해 부족 등이 이들 아동의 교육활동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방과 후 생활은 이들 가정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먼저 다문화가정 형성을 보면 국제결혼 중개업체를 통한 결혼은 아니며, 종교를 통한 결혼과 산업연수생으로 한국을 방문한 어머니로 구성된 가정이었다. 대체적으로 연구대상 가정은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들의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가정에서 자녀의 공부를 지도하기에는 부족한 언어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방과 후 교육활동은 경제적 상황에 따라 차이는 나지만 일반아동과 다름없이 학원수강과 학습지를 하고 있었다. 이에 사교육비에 부담을 가지고 있었으며, 방문교사의 비전문성의 문제가 제시되었다. 여가 시간에는 혼자서 컴퓨터 게임을 주로 하며, 휴일에도 다양한 교육활동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보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를 잘 키우고 싶어 하는 욕구가 컸으며, 자녀의 학습부분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부분을 가장 가슴 아파했다. 다문화가정 부모 모두 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학습은 어머니가 전담하고 있으며 아버지는 아동지도를 회피하고 있었다. 가정 내에서 소통은 주로 어머니와 이루어지고 있었고, 아버지와는 갈등이 존재했다. 다문화가정의 남편들은 가정에서 대화로서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지만 전통적 가부장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때론 폭력을 행하고 있어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자녀의 한국어 실력에 지장을 줄 것을 염려하여 모국어를 가르치지 않고 있었다. 한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가정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보면 자존감 향상과 자신감 회복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시점인 것을 알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