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랍어권 내 학습자를 위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들의 특성에 맞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본 연구는 아랍어권 내 학습자를 위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들의 특성에 맞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한국 언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는 아랍인 성인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데 실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다. 최근 학습자 집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각각의 목적에 맞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아랍어권 학습자 관련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연구가 초기 단계이다.
또한 기존의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과정을 아랍어권 학습자에게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된 한국어 교육과정 관련 이론과 실제를 기초로 하고 한국 언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려는 아랍어권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의 요구를 논의한다. 이러한 목적과 내용을 갖는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 내용, 방법을 밝히고, 아랍어권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2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는데 먼저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아랍어권 학습자의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 특성과 문제점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요구조사를 통해 최근 현황을 제시한다.
3장은 아랍어권 사람들과 한국 언어 교사들이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적절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조사를 다룬다. 이 연구는 주로 아랍어권 내 6개 대학에서 한국 언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는 아랍인 학습자, 그들의 인적사항 그리고 한국 언어 및 문화교육에 대한 현황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4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결과와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정 개발을 제시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한다. 요구조사를 반영하여 교수 자료 선정 기준, 주제, 문형, 어휘, 문화 요소 등의 교육 내용을 선정한다. 그리고 요구조사의 교육적인 내용을 적용하여, 교육 목표와 교육 기간을 각각 다룬다. 학습 대상과 학습시간을 달리 하여 그에 맞게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을 재구성하여 아랍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과정의 모형 하나를 제시한 다음 실제 적용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랍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언어 및 한국 문화 교육 과정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실제로 아랍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Arabic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Arabic speakers which should suit their requirem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Arabic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Arabic speakers which should suit their requirements.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Arabic-speaking adult students who have no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efore starting their education. Recently, requirements of a bette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Arabic speakers,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aims of each group of learners, started to attract some researchers. Although various researches through questionnaires have been done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they are still at an initial stage and with inadequate research to fulfill the study area.
Practically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exist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curriculum to Arabic speak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rabic-speaking learners' requests through a questionnaire to determinate their needs for learning practical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sing a developed curriculum. This study, consisted of the above mentioned objects and their contents, is constituted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one deliberates the purposes,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this study; as well as examining previous researches on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not only for Arabic speakers but for all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earners.
Chapter two deals with basic matters, first presenting the actual statu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en presenting the basic information, which should be known,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Arabic speakers such as actual status, specifications and difficulties, before conducting concrete researches.
Chapter Three is a survey through a questionnaire conducted of Arabic speak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requests and develop an appropriate education curriculum. The survey is largely made up of question items about Arabic-speaker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6 different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asks about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fourth chapter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curriculum for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Arabic speakers, based on the results and analyses of what has been discussed above. First of all,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education are set up. This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management of basic teaching materials, motifs, sentence patterns, vocabulary, cultural elements, etc are explain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 questionnaire's educational contents, goals of the education and the duration of the education are handled separately. Taking these fields into account, goals,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are reconstructed and a model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curriculum for Arabic speakers is introduced.
I hope that this study on develop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eaching curriculum will actually be used for Arabic-speaking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their countries. Also, I am looking forward to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lively with many other studies which will be efficient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Arabic speaker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