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가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와 긍정심리자본에 ... 본 연구는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가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와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전문학습공동체와 긍정심리자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는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학습공동체와 긍정심리자본의 특성 및 하위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고, 전문학습공동체를 독립변인으로 긍정심리자본을 종속변인으로 두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84부를 회수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을 사용하여 t-검정, F-검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와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교사보다 부장교사가,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고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학교 안 전문학습공동체 참여경험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일반학교나 혁신공감학교보다 혁신학교에서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인식은 대학교 졸업인 교사보다 대학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부장교사가,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고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전문학습공동체 참여경험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긍정심리자본 정도가 높았다. 둘째,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요인 중 분산적 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가치와 목적 공유는 자기효능감과 희망에, 협력적인 교사문화는 희망과 낙관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문학습공동체는 긍정심리자본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각 하위요인에 개별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 통합적일 때 설명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학습공동체 활성화 근거를 교사의 심리적 영역에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은 가시적인 측면보다는 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를 고려한 방식이어야 한다. 둘째, 전문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적인 학교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전문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리더십을 발굴하고, 이를 발전 및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