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학교혁신 활동 안에서 나타나는 내적 변화들을 교육복지가 지향하는 가치와 원리의 관점에서 탐색해 봄으로써 학교혁신을 통한 교육현장의 교육복지 구현가능성에 ... 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학교혁신 활동 안에서 나타나는 내적 변화들을 교육복지가 지향하는 가치와 원리의 관점에서 탐색해 봄으로써 학교혁신을 통한 교육현장의 교육복지 구현가능성에 대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혁신의 내용과 활동을 학교운영 측면, 수업 측면, 학교문화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서 교육복지가 추구하는 가치와 원리들을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고, 이를 통해 학교혁신의 활동이 교육복지 관점에서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의 혁신학교인 노을중학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는바, 교사 13명과 학교혁신의 과정을 다년간 경험해 온 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관찰, 문서수집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학교혁신의 활동을 학교운영, 수업, 학교문화 세 측면에서 교육복지의 관점으로 해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 측면에서의 학교혁신 활동은 돌봄중심 운영체제, 교육중심 학교운영, 교사역량개발을 구축하여 교육의 실천과정 속에서 돌봄ㆍ보살핌과 유의미성이라는 교육복지의 가치와 속성이 주요하게 실현되고 있었다. 교사의 개인적 역량이 아닌 학교 차원에서 학생들의 입체적인 돌봄을 실현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였고, 교사의 업무정상화를 통해 교사 자신도 돌보아지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행정업무보다 교육중심의 학교운영을 통해 학생의 유의미한 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교사의 혁신적 마인드 수립 및 지속성 유지를 위한 연수를 통해 교사의 사명감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혁신 측면에서 진행된 활동은 배움중심 수업으로의 전환, 범교과수업연구회 형성, 수업공개의 정례화 등이었으며 이러한 실천과정에서 관계맺음, 평등성, 유의미성이라는 교육복지의 가치가 구현되었고 유의미성은 대체로 주체성이 전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혁신 활동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관계’로서 수업을 통해 교사-학생, 학생-학생, 교사-교사간의 관계 회복과 성장을 이루고 있었다. 이는 교육복지에서 강조되는 ‘관계’가 교육활동의 중심인 수업의 혁신과정에서 실천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 것으로, 교육복지가 정규교육과정 안에서 구현되는 데 중요한 실마리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업혁신을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교육복지의 가치는 교육의 평등성 실현이었다. 수업방식의 변화를 통해 학생들의 재능과 장점이 다양하게 발견되어 ‘너와 내’가 소중한 존재임을 알게 되는 질적 평등과 잠자는 학생의 수가 줄고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획득하는 학생들의 수가 늘어나는 양적 평등으로 나타났다. 수업혁신에서 나타나는 마지막 교육복지적 성격은 주체성과 유의미성이다. 학생들은 수업에서의 주체적 참여를 통해, 교사들은 수업방식의 변화와 수업연구회를 통해 학교활동을 더욱 유의미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문화 측면에서 학교혁신활동은 인권을 존중하는 학교문화 형성과 학생 개인을 존중하는 내적인 소외극복의 문화 형성이었다. 이러한 구분은 학교문화는 학교 구성원들의 전반적인 행동패턴과 의식 등과 같은 큰 틀에서의 문화적 변화와 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는 내적인 문화의 변화가 동시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학교 전반에 걸친 학교문화는 학생의 인권을 존중하는 학교문화로 이는 다시 학생자치 활성화와 인권 존중의 생활지도의 정착으로 구분되었다. 학생자치와 교육3주체가 함께 만든 인권 존중의 생활협약과 같은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인권, 존중ㆍ배려, 관계맺음, 유의미성, 돌봄과 같은 교육복지가 지향하는 가치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교육복지의 가치와 원리의 관점에서 혁신교육활동을 살펴보면 첫째, 학교혁신은 교육의 평등성을 확대하고 있었다. 교육의 평등성이 실현되는 주된 장면은 수업이었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재능이 발견되는 수업방식을 통해 잠자는 학생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유의미한 학습의 기회를 확보하는 데 기여하였다. 둘째, 학생참여중심 수업과 학생자치 혹은 생활지도에 대한 혁신의 과정은 학생의 인권과 교육의 인간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학생들을 통제와 억압의 방식이 아닌 존중을 통해 생활교육을 인격적으로 실시했을 때 학생들은 심리적으로 치유되어 안정감을 회복하였고, 더 나아가 자기 삶에 대해 긍정적인 설계를 하는 자신감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학교혁신에 대한 의지가 높은 교사들은 돌봄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교육복지와 돌봄을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었고 학생뿐 아니라 교사 자신도 학교 안에서 함께 돌보아져야 하는 주체로 인식하고 있었다. 아울러 교사들이 말하는 교사 돌봄의 의미는 ‘자신의 본연의 일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에 놓이는 것’을 뜻했다. 넷째, 학교혁신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관계맺음의 속성은 ‘교육을 매개하는 관계’에서 ‘삶을 매개하는 관계’로의 전환을 의미했다. 학생들과 교사가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과정에서 생활교육의 자정능력이 높아졌고 절제하는 힘이 커졌다.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서로 관계를 맺는 장(field)을 살펴보면 주로 수업과 학생자치활동이었으며 이는 교육복지가 수업과 학생활동과 같은 정규교육과정 안에서 구현될 수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섯째, 질적인 내실을 기하여 교육본질로부터 멀어진 많은 부분을 회복하기 위한 학교혁신의 노력은 크게 수업, 수업연구회, 학생문화의 질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가르침보다는 배움이 중시되는 수업으로의 질적 변화, 교사의 폐쇄성을 극복한 범교과 수업연구회로의 질적 변화, 학생의 인권과 자율권을 좀 더 보장한 학생문화의 질적 변화로 구분될 수 있다. 여섯째, 교육소외 현상의 극복은 학교혁신 활동에서 교육본질에 대한 회복 노력과 공동체성이 강조됨으로써 촉진되었다. 수업, 학생자치, 학교운영 등에서 교육의 원형을 끊임없이 찾으려는 시도와 주로 수업과 학생자치에서 부적응 학생들을 함께 참여시키려는 노력, 발표를 잘 못하는 학생에게 야유하지 않기, 서로의 존재를 가치롭게 여기는 것, 실수를 비난하지 않기, 약자에게 먼저 손 내밀기, 교사는 학생에게 학생은 교사에게 예의를 지키는 것 등 함께 하는 공동체라는 인식을 전 교사가 공유하고 일관된 교육체계로 학생들을 교육할 때 교육소외는 극복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육복지가 지향하는 가치들, 구체적으로 교육의 평등성, 인권, 존중ㆍ배려, 관계맺음, 돌봄ㆍ보살핌, 질적 성장, 유의미성 등과 같은 가치들이 공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자 하는 교사들의 자발적인 교육적 시도로 이루어져 온 학교혁신 과정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천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동시에 그 한계도 드러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혁신의 학교혁신활동이 지니는 교육복지적 의의를 살펴보면 학교가 기존에 직면한 문제들을 교육소외 차원에서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사들의 자발적 헌신과 노력은 결국 첫째, 기본으로 돌아가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육본질 회복의 노력이며 둘째, 학교라는 미시적 수준에서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공동체 형성의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학생에게 집중하는 교사, 형식주의 극복,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는 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비가산적 변화에 대한 가치부여, 배제를 생산하는 평가 지양이라는 학교혁신의 내용과 활동 속에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가 교육복지공동체로 발전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고 교사가 학생들의 총체적 삶에 몰입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점과 수동적인 지식ㆍ기능 수행자에서 실천적인 교육전문가로 교사의 역할이 전환되어야 함을 학교 현장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혁신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단기적 갈등과 혼란을 과도기적 단계로 인식하고 장기적 발전을 도모하는 단초로 삼아야 하며, 귀납적으로 나타난 변화들을 제도화하기 위해서 변화의 주체였던 교육공동체가 제도화 과정에 참여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주체들이 정규교육과정 안에서 학교혁신을 교육복지적인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학교혁신-교육복지 연계 정책과 연구들이 학교현장에서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주제어: 학교혁신, 교육복지, 교육평등성, 인권, 돌봄, 관계맺음, 질적 성장, 유의미성, 교육소외 극복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