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and positive ethnic identity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here there are many different cultures from various ethnic groups. A person who has a positive ethnic identification with his or her own ethnic group tends 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and positive ethnic identity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here there are many different cultures from various ethnic groups. A person who has a positive ethnic identification with his or her own ethnic group tend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other ethnic group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means for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constitutes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pluralistic values of culture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ll be the basis of understanding our own culture and music properly and developing ethnic identification. Also, it will prevent students from feeling superior or inferior to other ethnic groups by leading them to have interests in other cultures and making them properly understand and respect those cultures. It is a process of learning to respect and accept values of other cultures and can be internalized as a belief to admit differences and diversity. Finally, it can cause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re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tool to understand our culture and develop ethnic ident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dentity between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between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depending on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o solve research problems, the study established a test group consisting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for 34 hours as well as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a control group made up of students who receiv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nly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st group in order to measure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n,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quantitatively by us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our results. First,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in identity than students who did not. Second,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students who did not. Third, students who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change in identity than students who did not.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depending on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ould be that it proved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medi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research to sugges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effective in cultivating ethnic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diverse cultural values, as one of alterna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as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ctivities focusing on enhancing identity should be positively promoted.

여러 민족의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과 명확하고 긍정적인 민족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자신의 민족 집단에 대해 긍정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

여러 민족의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과 명확하고 긍정적인 민족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자신의 민족 집단에 대해 긍정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다른 민족 집단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이해 및 우리 문화 이해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우리 문화 이해 도구로써의 국악교육은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이해의 첫 단계이기도 하다. 국악교육 은 우리 고유 음악과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근간이 되는 동시에 민족 정체성 함양의 도구가 될 것이며, 또한 다른 민족의 음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그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존중하게 함으로써 다른 민족에 대한 우월감이나 열등감에 빠지지 않게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공정하게 존중하고 인정하는 것이며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신념으로 내면화되어, 궁극적으로 다문화교육 실현에 가장 중요한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우리 문화 이해와 민족 정체성 함양 도구로써 국악교육을 매개로 한 다문화교육에 주목하였으며, 국악교육이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국악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국악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자아정체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악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국악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아정체감은 다문화 인식과 관계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교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 외에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국악교육을 총 34시간 운영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음악교과서의 평균 26.9% 차지(현경실, 2013)) 외에는 별도의 국악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일반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 도구로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국악교육의 효과성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을 한 학교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자아정체감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교육을 한 학교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다문화 인식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매개체로써 국악교육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국악교육이 단순히 전통문화를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벗어나 민족 정체성 함양을 통한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이해 도구로써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기에 이를 다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다문화 인식은 서로 관련이 있는 요소이므로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위한 방안으로 자아정체감 향상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