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양상을 초등학교의 동학년을 기반으로 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실제적인 맥락에서 이... 본 연구는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양상을 초등학교의 동학년을 기반으로 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실제적인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사용한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 연구방법이다. 사례 학교의 각기 다른 동학년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에 소속된 1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및 관찰, 관련 문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근거이론 연구방법에서 제안하는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개방코딩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대한 개념화와 범주화를 시도하여 최종적으로 70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축 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 분석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범주 분석 결과 ‘공동 연구-공동 실천의 순환 구조’라는 중심현상을 바탕으로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욕구’, ‘협력의 필요성 발생’이 인과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교육정책의 변화’, ‘학교 상황’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교장의 역할과 지원적 환경’, ‘구성원 특성 및 배정’, ‘의사소통과 공동의 목표’, ‘자발성과 자율성’, ‘교사 협력’이었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운영 및 참여 전략’, ‘역할 분담 전략’, ‘수업 실행 전략’, ‘정의적 영역 전략’이었고, 그 결과는 ‘수업 동료성 구축’, ‘교육과정 역량 동반 성장’, ‘함께 연구하는 학교 문화’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정 분석 결과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연결은 ‘인식 및 태도 형성하기’, ‘시도 및 조정하기’, ‘극복 및 유지하기’의 세 단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교사 학습을 통한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양상과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에서는 이야기 윤곽 전개를 통해 ‘협력적 교수 실천에 관한 반성적 논의 구조 형성하기’라는 핵심 범주를 설정하고 핵심범주와 범주 간의 관련성을 토대로 참여자들의 경험을 서술적 글쓰기로 풀어낸 이야기 윤곽을 전개하였다.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내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이론적 모형 구축을 위한 단서를 발견하기 위하여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참여자들의 경험의 양상을 ‘핵심 리더’형, ‘적극적 협력자’형, ‘소극적 적응자’형, ‘비판적 주변인’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교육 분야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학교 수준, 지역 교육지원청 수준, 국가 수준에서 교사학습공동체의 본질을 추구하는 다각적인 지원 방안이 장기적 관점에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와 기존의 활성화되어있는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연계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으로 사용한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은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현상의 개괄적이고 전반적인 양상을 포착하고 서술하는 데에는 유용한 설명 틀이 될 수 있으나 개별 참여자 또는 참여자 간의 인식이나 상호작용의 심층적인 탐색에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 개인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 및 발달 과정에 대하여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한 다른 질적 연구방법 또는 혼합 연구방법을 활용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만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유아 또는 중등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확대하기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이후 학교급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중간 규모의 초등학교를 사례로 한 연구이므로, 소규모 또는 대규모 학교에서의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