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건축문화재 보존관리 개선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Currently, the overall interest in heritage has increased in Korea wherea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ritage preservation leaves much to be desired. Also, given the fact that heritage items are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and that the condi...

Currently, the overall interest in heritage has increased in Korea wherea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ritage preservation leaves much to be desired. Also, given the fact that heritage items are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and that the condition and environment vary across heritage items, it is necessary to adopt a heritage management scheme based on typology, materials and regional culture. In the same vein, the competencies of municipal offices in charge of the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constitute an overarching factor, e.g. the evaluation of heritage preservation managers responsibl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process and procedure of preservation management, and the formula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challenges relative to current conditions.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 following findings. 1)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keywords of the challenges and the items of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via a questionnaire survey and face-to-face interview with the managers in charge of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9 items of preservation management derived were regular surveys, elementary surveys, irregular surveys, precision inspections, precision safety diagnoses, regular inspections, reinforcement & repairs, preservation treatments and restorations, whilst the keywords of the challenges arising i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were ‘lack of experts’, ‘lack of specialized knowledge’, and ‘lack of competencies at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es’. 2)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in Chungcheongbukdo indicated relatively low levels of preservation management in terms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masonry architectural heritage and compilation of manuals per value, quarter and disaster. Thus, adequate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to address the challenges arising i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to enhance the preservation management levels. 3) The analysis of the challenges arising in preservation management indicated that preservation managers had to deal with heavy overloads, lacked in expertise and showed unsatisfactory competencies at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es. Among the preservation management items, respondents pointed out primarily the ‘lack of experts’ in regard of regular surveys, elementary surveys, irregular surveys, precision inspections, precision safety diagnoses, regular inspections and reinforcement & repairs, and the ‘lack of specialized knowledge’ in terms of preservation treatments and restorations. Respondents showed a high awareness of the preservation of archetypes and the need for regular management, whereas their awareness of the participation in programs on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the communication skills with other institutes and the understanding and care of heritage among private managers was low. 4) The present study proposed som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hallenges arising in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in light of the p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preservation management methodology, and managers’ consciousness based on the survey with preservation manage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s of preservation management in municipalities in Chungcheongbukdo and identify relevant challenges to propose some improvement measures. Still, the present analysis was limited to Chungcheongbukdo, which warrants further studies building on the present findings and broadening the geographical scope to the entire country, ultimately to seek for better improvement measures applicable to architectural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재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으나 문화보존에 대한 중요성의 의식은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문화재들이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어 각각의 문화재에 대한 ...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재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으나 문화재 보존에 대한 중요성의 의식은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문화재들이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어 각각의 문화재에 대한 상황이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유형별, 재질별, 또는 지역문화권별 등으로 구분하여 문화재에 대한 보존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지역마다 분포해 있는 문화재를 관리하는 담당기관인 지방자치단체의 보존관리 역량이 중요하며 구체적으로는 보존관리에 대한 절차와 과정을 계획하여 실행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문화재 보존관리자에 대한 평가와 현 실태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건축문화재 보존관리 수행항목 및 문제점 키워드를 도출하기 위하여 담당자의 설문조사 및 직접 면담조사를 실시해 나타난 결과, 보존관리 항목은 상시조사, 기초조사, 비정기조사, 정밀점검, 정밀안전진단, 정기점검, 보강·수리, 보존처리, 복원인 9가지 항목이 도출되었고, 보존관리체계 문제점 키워드는 ‘전문인력 부족’, ‘전문지식 부족’, ‘기관들과의 협업능력 부족’이 도출되었다. 2) 충청북도 건축문화재 보존관리수준 평가 분석결과, 가치별, 분기별, 재난별, 목조 건축문화재, 석조 건축문화재, 매뉴얼 적립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에 보존관리수준을 높이기 위해 보존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3) 보존관리에 대한 문제점 분석결과, 보존관리체계에서 담당자들의 업무량이 매우 많으며 전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나타났고 기관들과 협업능력의 만족도에서도 낮은 편이다. 보존관리 수행항목에서는 상시조사, 기초조사, 비정기조사, 정밀점검, 정밀안전진단, 정기점검, 보강·수리에서는 ‘전문인력 부족’의 의견이 가장 많았고, 보존처리와 복원에서는 ‘전문지식부족’의 의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담당자들의 의식은 원형보존원칙의 이행, 상시관리 필요성에 대한 의식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건축문화재 보존관리관련 교육 참여, 기관들과의 소통 노력, 민간관리자들의 문화재에 대한 이해 및 관심에서는 의식 수준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에서 건축문화재 보존관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보존관리체계, 보존관리 수행방법, 담당자들의 의식부분에서 담당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충청북도 지방자치단체의 보존관리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다음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범위는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지역적으로 국한되었다. 이에 향후 본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지역적 범위를 넓혀 전국적으로 건축문화재 보존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심화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