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조절효과성을 규명함으로써 장애아동 부모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의 3개 도시와 4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 5개월간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363부 중 불성실한 응답지 28부를 제외한 총 335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은 가족원 간의 유대와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행능력과 가치체계 공유로 구성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단순ㆍ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에 대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가족건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평가적 지지가 높으면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원 간의 유대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족원 간의 의사소통에는 정서적 지지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원 간의 문제해결 수행능력에는 정서적, 정보적 지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원 간의 가치체계 공유에는 정보적 지지만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아동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가족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가족건강성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 요인과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원 간의 유대와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지지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문제해결 수행능력 및 가치체계 공유와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원 간의 유대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지방자치단체는 상담, 장애아 돌봄, 여가활동 등의 체계적인 가족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장애아동 부모의 가족건강성 향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원 간의 의사소통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지역사회 사회복지 관련기관은 가족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가족스트레스를 줄이고,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과 가족관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사회복지 관련기관을 주축으로 전문가의 인적자원을 활용한 가족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원 간의 문제해결 수행능력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장애아동 부모의 개인이나 환경으로부터 발생되는 지식이나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 해결 수행능력을 높이고, 나아가 가족건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정부는 복지관련 정보제공 및 정보의 활용 등 복지정보 제공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장애아동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원 간의 가치치계 공유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장애아동 부모가 가족구성원과 가치체계를 함께 공유하는 것은 가족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게 되며,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족건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정부는 맞춤형 복지전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아동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가족건강성에 영향력이 있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 가족원 간의 유대와 의사소통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관에서는 보건소, 병원, 학교 등의 기관과 연계하여 협력체계 구축으로 장애아동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건강관련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들의 가족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족지원 서비스 시스템 구축, 가족 지원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정부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과 복지관련 정보제공 등 실천적 개입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