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민요 수업의 표현방안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실천주의 음악교육론자 엘리엇(D. Elliott)은 음악이란 ‘음악작품’(works)이 아니라 ‘음악을 만드는 행위’(musicing)라고 보았다. 즉, 그에 의하면 음악이란 대가에 의해 녹음된 음반이나 악보...

실천주의 음악교육론자 엘리엇(D. Elliott)은 음악이란 ‘음악작품’(works)이 아니라 ‘음악을 만드는 행위’(musicing)라고 보았다. 즉, 그에 의하면 음악이란 대가에 의해 녹음된 음반이나 악보가 아니라 노래를 부르고,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을 만드는 ‘행위 그 자체’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주장을 계승하여 음악교육자들은 여러 음악 프로그램들이 계발하였는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그 주 적용 대상이 아동이라는 점에서 인지적 발달수준이 상이한 고등학생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을 통한 표현 및 배경과 맥락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발의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전술하였듯이 본 연구의 주된 이론적 배경은 엘리엇의 음악교육철학에 기초하고 있다. 엘리엇은 음악을 하는 행위 속에 음악적 사고가 들어있다는 내용의 ‘실천적 음악교육론’과 음악은 그 시대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 있다는 ‘다문화적 음악교육론’을 주장했다. 이러한 엘리엇의 주장은 2009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의 내용체계인 ‘음악적 표현과 소통’, ‘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에도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음악과 생활』의 세계음악 단원에서 제시되는 내용들 중 아프리카 민요는 학생들이 가장 흥미로워 하는 부분이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아프리카 민요는 교사들이 가장 잘 다루지 않는 부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순된 상황을 타개하고 학생들의 음악적 관심과 흥미에 부응하기 위해서 아프리카 민요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교수법의 계발 역시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10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표현영역의 중요성을 주장하였고, 아프리카 민요를 이해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많은 교사들이 본 논문을 접한 후 수업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과서에 여러 번 소개된 제재곡을 선별하여 가창중심수업, 기악중심수업, 창작중심수업을 계획하였다. 가창, 기악, 창작활동은 음악활동에 있어 그 위계가 있으므로 접근하기 쉬운 ‘가창중심수업’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남아프리카 줄루 족(Zulu 族)의 민요 〈시야함바 Siyahamba〉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는 케냐 민요 〈잠보 Jambo〉로 ‘기악중심수업’을 제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는 남아프리카 코사 족(Xhosa 族)의 민요 〈클릭송 The Click Song〉으로 ‘창작중심수업’ 의 총 여섯 차시의 지도안을 각각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아프리카 민요 수업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의 음악적 표현 능력이 더욱 다양화 되고 세계 음악에 대한 시야 역시 넓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David Elliot, who is a philosophy of Praxical Music Education, considered music not as ‘works’ but as ‘musicing’ that means acts of producing music. Indeed, Elliot thought that music is not albums or music scores that experts have recorded but...

David Elliot, who is a philosophy of Praxical Music Education, considered music not as ‘works’ but as ‘musicing’ that means acts of producing music. Indeed, Elliot thought that music is not albums or music scores that experts have recorded but ‘acts itself’ that people are singing,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or producing music.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music educators who succeed the Elliot’s opinion developed music programs for mainly children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is research to apply the programs into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erent development levels compared to children. Therefore, in order for the need,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program that could focus on high school students, make expressions with music, and make students comprehend backgrounds and contexts.
This study used the Elliot’s music education philosophy as a fundamental theoretical background, and Elliot contended that ‘praxical music education’ means there is musical thinking in musical acts a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eans music in a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mporary society. The Elliot’s opinions could be reflected into ‘music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s’ and ‘music as cultural products’ that are contents of High School『Music and Life』in 2009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a prior study, students are very interested in an African folk song in a world music chapter of the 『Music and Life』. However, teachers don’t deal with the African folk song well paradoxically. In order to change the paradox situation and meet interest of the students, African folk songs should be researched actively, and it is an urgent to develop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folk songs.
This study contented an importance of expression parts by analyzing 10 types of high school 『Music and Life』textbooks as following 2009 revised curriculum, and it researche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to comprehend African folk songs.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 order to make many teachers read this study and apply lesson plans in this study into their actual class, this study designed singing class, musical instrument class, and creation class by selecting topic songs that the textbooks introduce several times. Because there is hierarchy for musical acts such as singing, musical instrument, and creation, this study suggested comparatively easy ‘singing class’ focusing on first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by using 〈Siyahamba〉which is a South African Zulu’s folk song. This study suggested ‘musical instrument class’ focusing on second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by using 〈Jambo〉 which is a Kenyan folk song, and it developed and suggested lesson plans of each six period for ‘creation class’ focusing on third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by using 〈The Click Song〉 which is a South African Xhosa’s folk song. This study expects that high school students could be improving musical expressions and they could have the wider field of view on world music through the African folk song class.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