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이벤트 체험이 사회적 연결감과 지역사회 애착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지역이벤트 체험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역이벤트 프로그램 구성 및 ...
본 연구는 지역이벤트 체험이 사회적 연결감과 지역사회 애착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지역이벤트 체험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역이벤트 프로그램 구성 및 정책 자료를 제시함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지역이벤트 체험에 관한 개념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연결감, 지역사회 애착도, 삶의 질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이론적 연구에 근거해 연구모형을 정립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실증분석 연구를 하였다.
조사대상은 마을활성화를 위한 동(洞)단위 지역이벤트로 “연남동 마을시장 따뜻한 남쪽”, “갈현동 재미난장(場)”, “상일동 게내마을축제”로 하였으며, 지역이벤트에 참가한 20세 이상의 지역주민을 설문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분석 결과의 요약과 이를 바탕으로 지역이벤트 체험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역이벤트 프로그램 구성 및 정책 자료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이벤트 체험의 감각, 감성, 관계는 사회적 연결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 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이벤트를 동 단위의 마을공동체 범위로 심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이벤트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감각과 감성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고, 마을공동체 주민 소모임이나 주민단체를 발굴하여 지역이벤트 준비과정에서부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행정적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주민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이 구성되도록 프로그램 공모제를 이용하고 프로그램 구성과정에서도 자율성을 보장해야 하며, 민관거버넌스 구성에서도 주민들의 권한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행사 후에서 지역이벤트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와 지속적인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연결감의 사회적 소속감은 지역사회 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연결감의 유대감은 지역사회 애착도의 정체성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존성, 사회적 친분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에서 유대감과 사회적 소속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동 단위 체육대회와 생활체육이벤트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동 단위 체육대회는 지방정부의 예산부족으로 격년제로 시행되고 있지만 적은 예산이라도 지원하고 주민들의 자발적인 예산확보를 장려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 연결감이 삶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에서 사회적 연결감은 사람들의 자아상태, 자아실현, 자기 존중감과 함께 심리적으로 행복함을 느끼게 하는 원천으로서 더욱 가치가 있다.
마을공동체에 관이 나서기 보다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주민이 주도하여 주민들이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의사를 반영하여 지역이벤트를 만들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지역이벤트를 만드는 과정에서의 주민들 간의 사회적 연결감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주관적인 행복을 느끼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 애착도가 삶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서 지역의 관광자원과 환경에 맞게 정체성을 찾을 수 있고 역사성 있는 전통문화, 세시풍속, 마을공동체의 문화와 맞는 프로그램을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민들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주민센터와 문화센터보다는 마을주민들이 언제나 함께 모일 수 있는 문화예술 공간을 제공하고 소규모 주민모임의 지역이벤트를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에 맞는 이벤트 체험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개발하면서 주민들 간의 소통과 배려가 사회적 연결감과 지역사회 애착도를 높이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이벤트를 구성하는 몇 명의 주민 소모임이 마을공동체를 이루고, 활성화된 마을공동체가 서로 모여 도시로 확장되어 국가 경쟁력이 향상되듯이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