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복합문화시설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청소년문화의집”의 공간 구성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a society of the 21st century facing rapid changes, youth facilities are required to change in compliance with competence of the youth.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youth as one of social big issues, the necessity to prepare fo...

In a society of the 21st century facing rapid changes, youth facilities are required to change in compliance with competence of the youth.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youth as one of social big issues, the necessity to prepare for the youth is rising. ‘Youth Culture Centers’ are located near to residential areas as a small scale training facility focusing on information, culture and art. Even though it is a small scale facility, it is located at a place nearest to the youth and is regarded as a facility to give a boost to the youth. However, many of ‘Youth Culture Facilities’ have been limited to the expansion of facility areas without a variety as mostly similar programs and facilities due to the basic instructions of 「Juvenile Activity Promotion Act.」 The existing ‘Youth Culture Centers’ have not satisfied various demands for suddenly changing cultural activities. It has not been appropriately complying with interest required for the youth and changes of demand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improvement of social adaptability and physical growth of the youth. In recent,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the Korean society is the problem of the youth. According to the spread of the problem of the youth, social instability has increased and it ha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crease of the sense of risk and vitality reduction of the youth. The foundation for the youth to become independent economically has weakened because of low income, high cost and low credit. So a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youth that has become a dilemma of our society, the government is putting its effort to provide the youth with a space in the society in terms of a policy. This study as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Youth Culture Centers’ analyzes the Youth Culture Centers critically and understands the spatial composition problems of the facilities.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youth space focusing on community facilities, it designs community sharing space for network formation of the youth as well as young people. It also plans youth culture complex space made of complex of youth facilities and young people‘s facilities that can satisfy social and cultural demands of the youth and young people, and become a vitality of local communities. It is expected that as this network gradually expands, it can influence the youth healthy communication spa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In addition, young people can contribute to preparing for a subjective social position as young people by creating new networks though diverse programs. Furthermore, new local cultural revitalization is expected through preparing for local resident activity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local communities as a plan for the youth culture complexes, which are revitalized due to communication between healthy young people and various classes.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21세기 사회에서는 청소년 시설은 청소년의 필요한 역량에 맞추어 변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중요 문제 중 하나인 청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의 공간의 ...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21세기 사회에서는 청소년 시설은 청소년의 필요한 역량에 맞추어 변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중요 문제 중 하나인 청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의 공간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 문화의집’은 정보, 문화, 예술 분야 중심의 소규모 수련시설로서 주거지역 근거리에 위치한다. 소규모의 시설이나 청소년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청소년에게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는 시설로 그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많은 ‘청소년 문화의집’시설은「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른 기초적인 지침에 의해 대부분 비슷한 프로그램과 시설로 다양성 없이 시설 영역을 확대하는 것에만 그쳐왔다. 기존의 ‘청소년 문화의집’은 급격히 변화하는 문화 활동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 적응력 향상, 건전한 신체적 성장을 유도하는 등의 청소년에게 필요로 하는 관심과 요구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청년 문제이다. 청년 문제의 보편화에 따라 사회적 불안 증가로 청년의 위기감 증가와 활력 저하로 이어졌다. 저소득·고비용·저신용으로 인한 청년의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약화 되었다. 이렇게 우리 사회의 난제가 되어버린 청년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 정부도 정책적으로 청년에게 사회 안의 공간을 마련해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문화의집’의 이론 고찰로 청소년 시설을 비판적 사고로 분석하여 시설의 공간 구성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커뮤니티 시설을 기반으로 한 청년 공간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청소년과 청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커뮤니티 공유 공간을 구상한다. 청소년과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욕구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지역 사회의 활력이 될 수 있는 청소년시설과 청년시설의 복합화로 이루어진 청소년 복합문화공간을 계획한다. 이 네트워크가 점차 확장되면서 청소년의 건전한 소통 공간과 청소년 발달 심리에 영향을 기대한다. 더불어 청년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새로운 네트워크 생성으로 주체적 청년의 사회 자리 마련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지역 주민의 활동 공간 마련을 통한 새로운 지역 문화 활성화를 기대한다. 건전한 청소년들과 다양한 계층의 소통으로 인해 활성화된 지역 커뮤니티를 청소년 복합문화시설 계획에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