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통합예술매체를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 대상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사례연구로써 서울시내 소재 S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5명을...
본 연구는 통합예술매체를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 대상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사례연구로써 서울시내 소재 S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5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주 2회 진행되었다.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은 스스로의 역할을 탐색하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심리극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초기, 중기, 후기의 3단계로 구분한다. 초기 라포형성과 자기탐색의 단계를 거쳐 중기에서는 부정적 감정해소와 가족의 긍정적 지지를 경험하고 마지막으로 역할카드를 통해 이야기 극화 및 역할레퍼토리 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연극치료프로그램은 적용 후 회기일지와 관찰일지를 토대로 질적 분석하였으며 보조수단으로 프로그램 시행 전후 자기효능감 척도 설문 결과를 뒷받침 하였다.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결과 대상자들의 부정적 자기평가가 감소하고 적극적이며 긍정적 자기표현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조수단으로 사용한 사전·사후 설문지 검사 결과 역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남으로써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영향을 미쳤음을 뒷받침 해준다. 또한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 관계경험을 갖게 하는 연극놀이와 다양한 역할경험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긍정적 반응을 일으킨 기법인 반면 내면적 감정이나 말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가면기법은 대사전달의 어려움과 대상자들에게 갑갑함을 초래하여 부정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지속성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길 바란다.
This is a case study that observed the effect of drama therapy using integrative arts on self-efficac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v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S’ welfare center for intellectually disabled. The therapy ...
This is a case study that observed the effect of drama therapy using integrative arts on self-efficac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v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S’ welfare center for intellectually disabled. The therapy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for about three months.
In order to increase self-efficacy, the program consisted of techniques from psychodrama that let the clients explore one’s own role and experience the feeling of accomplishment. The program was broken down into three steps -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 Building a rapport and self-exploring were main issues in the beginning, and then in the middle, the program focused on releasing negative emotions and receiving support from family. Finally at the end, the participants dramatized their own roles and explored different roles using role profile. This drama therapy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journals from each session and questionnaires for self-efficacy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structuring and running the drama therapy program, the participants showed a decrease in negatively judging themselves and an increase in positively expressing themselve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levels of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us support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promoting the self-efficacy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lso, drama play and different experience of roles gav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using masks for searching inner feelings or words was found to be potentially inappropriate to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he participants had hard time delivering the words and felt stuffiness with the mask on. The researcher hopes the present study be used as basis for structuring drama therapy program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nd for further researches.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