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용 기초연어 선정 연구 : 주동연어와 사동연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fficiently learning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of Korean, which being as foreign language in Korean education. And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study invested the naturality of colloca...

This study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fficiently learning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of Korean, which being as foreign language in Korean education. And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study invested the naturality of collocations, and then, after dividing those collocations into different learning levels, it designated basic collocations so as to analyze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in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this, the first chapter describ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it discussed relevant studies of the designation of collocations in Korean education.
The second chapter aimed at describing how to use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In the first stage, it reorganized initiative collocations in dictionaries, and on the basis of which, the second stage reorganized causative collocations. And then, The third stage supplied for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in textbooks. The fourth stage explained for the previous three stages and in order to judge whether those collocations has been made naturally, it analyz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made for indigenous persons.
In order to designate basic collocations for the use of Korean education, after dividing the catalog of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into different levels, the third chapter put forward catalog of basic collocations.
The fourth chapter focused on analysis of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which, it analyzed causative expressions in three different textbooks and described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these three textbooks. In addition, this chapter divided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which in textbooks into five species and analyzed them. The first specie is that collocations, which being as basic collocations are put forward in primary textbooks. The second specie is that collocations, which not being as basic collocations are not put forward in primary textbooks . The third specie is that collocations, which although being as basic collocations, are not put forward in primary textbooks. The forth specie is that collocations, which although not being as basic collocations, are put forward in primary textbooks. And the last specie is that collocations, which being as basic collocations are put forward in primary textbooks but not put forward in dictionaries.
Finally, the fifth chapter describ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reorganizing all contents of the research.
The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s not only for the designation of basic collocations which focused on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in Korean education, but also for the analysis of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in textbooks.
Keyword: The designation of initiative collocations and causative collocations of Korean, Hierarchization of collocations, The designation of basic collocations of Korean.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교육에서 한국어 주동연어사동연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목록을 작성하고 그 연어의 자연성을 조사하여 등급화를 한 후 기초 연어를 선정하고...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주동연어와 사동연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목록을 작성하고 그 연어의 자연성을 조사하여 등급화를 한 후 기초 연어를 선정하고 교재의 주동연어와 사동연어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했고 한국어 교육에서 연어 선정에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했다.
2장에서는 주동연어와 사동연어 목록을 단계별로 어떻게 작성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연어 사전에서 주동연어를 추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사동연어를 만들어 목록화했다. 다음으로 교재에 실려 있는 주동연어와 사동연어를 살펴보고 연어 사전을 바탕으로 작성한 목록에 교재 수록 연어를 추가했다. 이렇게 작성된 목록에 실린 연어 중 인위적으로 만든 연어가 자연스러운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원어민 화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했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기초 연어를 선정하기 위해서 주동연어와 사동연어 목록을 등급화한 후 기초 연어 목록을 제시했다.
4장에서는 분석 대상 교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세 교재에서 사동사 표현의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교재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봤다. 그리고 분석 대상 교재에 실려 있는 주동연어와 사동연어의 목록을 5가지로 분류하고 분석했다. 첫째, 기초 연어이므로 교재도 초급에서 제시한다. 둘째, 기초 연어가 아니므로 교재도 초급에서 제시하지 않는다. 셋째, 기초 연어이지만 교재는 초급에서 제시하지 않는다. 넷째, 기초 연어가 아니지만 교재는 초급에서 제시한다. 그리고 사전에 실려 있지만 교재에 실려 있지 않는 기초 연어 목록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 교육과 연어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주동연어 · 사동연어 중심의 한국어 교육용 기초 연어 목록을 구축하였다는 점과 교재에 실려 있는 주동연어와 사동연어를 분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